[기후정상회의] 문대통령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 연내 상향"...조 바이든 "절반 감축"

정치 / 류수근 기자 / 2021-04-23 01:43:09
2050년 탄소중립 목표 확인하며 2030년까지 감축 목표 상향 잇따라
시진핑, 기존 목표 확인하며 "미국과 협력 기대"...EU·일본도 감축 목표 상향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추가 상향하여 올해 안에 유엔에 제출할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오후 9시부터 11시까지 2시간 동안 개최된 ‘기후정상회의(화상)’ 1세션에 참석해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의지를 담아 NDC를 추가 상향하고자 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한국은 지난해 NDC를 기존의 배출전망치 기준에서 2017년 대비 24.4% 감축하겠다는 절대량 기준으로 1차 변경해 유엔에 제출한 상태다.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화상으로 열린 기후정상회의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번 기후정상회의에서 주요국 정상들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며 개별 국가의 노력은 물론 국제적 차원의 적극적 협력 의지를 다짐했다.

이번 회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노력과 미국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해온 바이든 대통령의 주도로 성사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파리 기후변화 협약에서 탈퇴했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 첫날 이 협약에 재가입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이번 기후정상회의는 파리협정 목표 및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각국의 상향된 기후대응 의지를 결집하기 위해 개최됐다.

한국을 포함해 2009년 미국이 중심이 되어 발족한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 경제국 포럼(MEF)’ 17개 회원국과 세계 각 지역의 초청국 23개국 정상들이 참석했다.

유럽연합(EU)은 이번 회의를 앞두고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은 1990년 대비 최소 55% 감축한다는 목표에 잠정 합의했다. 이전까지는 40% 감축이 목표였다.

문 대통령의 기후정상회의 참석은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루어졌다. 한-미 간 기후변화 대응 협력을 강화해 다각적 차원의 한미동맹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청와대는 기대했다.

문 대통령이 참석한 1세션에는 미국·영국·중국·일본 등 MEF 회원국 17개국과 기타 초청국 10개국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전 지구적 위기 극복을 위한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우리나라의 강화된 기후대응 행동을 주제로 연설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화상으로 열린 기후정상회의에 참석,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먼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관련해 한국의 추가 상향 노력을 발표했다. 우리의 선제적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무역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보완 조치와 연결되어 우리나라의 국제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 전 세계적인 탈석탄 노력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탄소중립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석탄발전 투자 중단이 국제사회의 흐름이 되고 있다. 이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G20(주요 20개국)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11개국이 석탄발전 공적 금융지원 중단 선언을 했다.

이같은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석탄발전 감축에 대한 대내외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전 세계적 기후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행동을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했다. 따라서 올해는 우리나라가 탄소중립으로 이행하는 원년이다. 국제적으로도 2021년은 파리협정 이행의 첫해다.

이처럼 올해는 국내외적으로 탄소중립 노력의 의미있는 한 해로 기억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오는 5월엔 서울에서 P4G 정상회의도 개최될 예정이다.

이에 문 대통령의 기후정상회의 참석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제적 결속을 다지며 국제사회에서 기후 리더십을 강화해 나가는 중요한 자리가 됐다.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화상으로 열린 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해 있다. 청와대는 이날 회의를 위해 상춘재를 디지털기술과 전통을 융합한 한국형 서재 스타일로 꾸몄다고 밝혔다. [사진=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상춘재에 마련된 화상회의장에서 기후정상회의에 임했다. 이곳은 디지털기술과 전통을 융합한 한국형 서재 스타일로 꾸며졌으며, 전통한옥인 상춘재 대청마루를 활용, 최첨단 차세대 디스플레이(T-OLED)를 배치했다.

문 대통령은 스타일도 친환경으로 신경썼다.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재생 원단으로 제작된 우리 중소기업 친환경 넥타이를 착용했고, 해양쓰레기 씨글래스(폐유리)를 활용한 P4G(녹생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공식 라펠 핀을 착용하고 오는 5월 서울에서 열리는 P4G 정상회의를 홍보했다.


이번 기후정상회의는 2050년 순 탄소배출이 '제로'인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또 2030년까지 탄소배출 감축 목표치를 기존보다 상향 조정한 국가들도 잇따랐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회의 개막 연설에서 미국이 기후변화 대처를 그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면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005년 수준 대비 절반으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는 2015년 파리 기후변화 협약 당시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2025년까지 26~28% 낮추겠다는 목표보다 매우 공격적인 수치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후변화를 "우리 시대의 실존적 위기"라고 규정하고 기후변화 대응은 "도덕적으로, 경제적으로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주요국 정상들도 바이든 대통령의 솔선수범 노력에 호응했다.

▲ 2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화상으로 열린 기후정상회의에 문재인 대통령(위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 위에서부터 네번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 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 위)등 각국 정상들이 보인다. [서울= 연합뉴스].

중국과 미국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 1~2위 국가다. 바이든 대통령의 개막 연설 후 정상으로서 첫 연설자로 나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중국은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 더불어 세계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미국과 협력 의사를 밝혔다.

시 주석은 또 2030년까지 탄소 배출 정점을 지나고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중국의 장기 목표를 다시 한번 상기했다. 하지만 새로운 목표는 제시하지 않았다.

이날 회의는 화상으로 열리긴 했지만 갈등을 겪는 미중 정상의 첫 만남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으나 기후변화 이외의 주제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미국이 기후정치에서 협력하기 위해 되돌아온 것을 보게 돼 기쁘다"며 바이든 대통령이 국제사회에 매우 분명하고 중요한 메시지를 보냈다고 평가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바이든 대통령의 판을 뒤집는(game changing) 발표에 정말 흥분됐다"며 "미국을 앞자리로 복귀시킨 것도 고맙다"고 말했다. 앞서 존슨 총리는 탄소배출을 2035년까지 78% 감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일본의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3년 대비 46% 줄이겠다고 밝혔다. 당초 26% 감축 목표를 크게 상향 조정한 것이다.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도 온실가스 배출을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40~45% 줄이겠다고 강화된 목표를 밝혔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모든 관심국이 공동의 과학연구에 가세하고, 실질적으로 의미가 있는 기후 프로젝트들에 함께 투자하며, 기후 변화 영향 완화와 적응을 위한 저탄소 기술 개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자"고 제안했다.

반면, 세계 3위 온실가스 배출 국가인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미국과 다른 부유국들이 저소득국의 석탄발전 등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도록 약속한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집행할 것을 요구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