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룰 파동 과정서 정홍원 선관위원장 사의표명...이준석 만류로 철회
국민의힘이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여론조사에 ‘역선택 방지’ 조항을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민의힘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5일 오후 4시께부터 여의도당사에서 7시간 가까운 마라톤 회의 끝에 이같은 결론을 내렸다.
선관위는 대신 보완책을 마련했다. '국민여론조사 100%'로 진행할 계획이던 1차 컷오프 투표에 '당원투표 20%'를 반영해 ‘당원 투표 20%+국민여론조사 80%’로 하기로 했고, 최종 후보 선출을 위한 여론조사(본경선)에서는 ‘당원 50%+여론조사 50%’ 비율을 유지하되 '본선경쟁력'을 측정하기로 했다.
![]() |
▲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 방식 절충 내용. [그래픽=연합뉴스] |
선관위의 이같은 결정은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 여부를 놓고 경선 후보들의 갈등상이 극심해지자 찬반 양쪽의 반발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절충안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런 만큼 경선룰 내분이 봉합될지 주목된다.
다만 2차 컷오프 투표는 변동 없이 '여론조사 70%+당원투표 30%'로 진행된다. 이때는 본선 경쟁력을 묻지 않는다.
앞서 당 경선준비위원회(경준위)는 1차 컷오프는 ‘여론조사 100%’, 2차 컷오프는 ‘여론조사 70%+당원투표 30%’로 하기로 했고, 최종 후보 선출은 ‘여론조사 50%+당원투표 50%’로 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여론조사 과정에서 여권 지지층의 참여를 막는 '역선택 방지' 조항을 도입할지를 놓고 유불리에 따라 경선 후보들의 입장이 상반돼 내분 양상은 정점으로 치달았다.
윤석열 최재형 후보 측은 여권 극렬 지지층이 조직적으로 개입해 선거 결과를 왜곡할 수 있다며 역선택 방지를 주장한 반면, 홍준표 유승민 후보 등은 선례가 없고 당 외연 확장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을 반대했다.
정홍원 선관위원장은 이날 회의를 마친 뒤 “지금까지는 역선택을 놓고 안을 만들다 보니 찬반이 자꾸 엇갈렸다”며 “발상의 전환을 해서 ‘후보의 본선 경쟁력이 얼마나 있느냐’는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해 만장일치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는 최종 후보 선출 여론조사에서 ‘본선 경쟁력'을 물을 내용에 대해서는 “여권의 유력한 후보와 우리 후보를 '1대 1'로 놨을 때 어떻게 나오느냐를 측정하는 것“이라며 ”구체적인 질문 내용 등은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 |
▲ 국민의힘 정홍원 선거관리위원장, 윤석열, 최재형 대선경선 후보 등이 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공정경선 서약식 및 선관위원장 경선 후보자 간담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홍준표, 유승민, 하태경, 안상수 후보는 '역선택 방지조항 제외'를 주장하며 이날 행사에 불참했다. [사진=연합뉴스] |
경선룰과 관련해 후보들의 입장이 극명하게 엇갈리며 이날 하루 국민의힘은 경선 일정까지도 요동치면서 큰 혼란을 겪어야 했다.
이날 홍준표 유승민 하태경 안상수 경선 후보는 당 선관위의 경선 여론조사 '역선택 방지' 도입 검토에 반발하며 이날 열린 공정경선 서약식 및 선관위원장 경선 후보자 간담회에 불참했다.
그러자 정 위원장은 당 공정경선 서약식 행사를 앞두고 이준석 대표와 만나 경선룰 파동과 관련해 거취에 대한 고민을 전달했다. 결국 이준석 대표의 적극적인 만류로 정 위윈장이 사의를 거둬들이면서 상황이 가까스로 수습됐다. .
이 대표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정 위원장이 ‘이렇게는 권위가 서지 않는다’며 고민을 전달했고 저는 만류했다“며 ”최대한 정 위원장께서 일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경선룰을 둘러싼 당내 갈등이 어렵사리 수습된 뒤 정 위원장은 당사에서 진행된 공정경선 서약식과 후보자 간담회 행사에 참석했다. 이어 정 위원장은 선관위 회의를 통해 역선택 방지 여부에 대한 결론을 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