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인구 6억 명에 달하는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지역 최초 완성차 생산거점을 인도네시아에 구축했다.
현대차는 16일 오후(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브카시시(市) 델타마스 공단 내 위치한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등 관계자들이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준공식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
행사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을 비롯한 인도네시아 정부 관계자, 현대차 임직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준공과 인도네시아에서 처음으로 생산되는 전기차인 아이오닉 5의 양산을 축하한다”며 “아이오닉 5는 인도네시아 전기차 발전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행사에 참석한 정의선 회장은 “인도네시아는 현대차 미래 모빌리티 전략의 핵심 거점”이라며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은 인도네시아 미래 산업의 중요한 축인 전기자동차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 조코 위도도 대통령(왼쪽)이 아이오닉 5 차량에 서명을 하는 모습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은 77만 7000m² 넓이 부지에 지어졌다. 올해 말까지 15만 대, 향후 25만 대 규모의 연간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총투자비는 제품 개발과 공장 운영비 포함 약 15억 5000만 달러다.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차종은 크레타, 아이오닉 5, 싼타페(올해 상반기), 소형 MPV(올해 하반기) 등으로 예정돼 있다.
이 공장은 엔진과 의장‧도장‧프레스, 차체 공장,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센터 등을 갖춘 현대차 최초의 아세안 지역 완성차 공장이다. 이는 현대차가 인도네시아 내에서 아세안 시장을 위한 전략 차종의 육성부터 생산‧판매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장은 자카르타에서 동쪽으로 약 40km, 인도네시아 최대 항만이자 동남아시아 해운 중심지인 탄중 프리오크에서 남동쪽으로 약 60km 떨어져 있다.
![]() |
▲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전경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
현대차에 따르면 이 공장은 현지 각 지역에 차를 보내기 쉽고 우수 인재 확보에 유리하며 아세안 지역 수출이 용이한 위치를 확보했다.
또한 다양한 친환경 공법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태양광 발전 설비로 공장 전력을 일부 생산하고 수용성 도장 공법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발생을 최소화했다. 대기오염 저감 설비를 통해 대기오염 발생을 줄이고 도장 공정에 원적외선 오븐을 적용해 열손실을 최소화했다.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는 전기차 산업 발전을 위해 EV 확대 정책을 펼치고 있다.
지난 2019년 대통령령을 통해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회사가 현지 부품과 인력 등을 활용해 현지화율 조건 만족 시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혜택으로는 부품 수입 관세와 사치세(15%) 면제 등이 있다. 정부에서 사용하는 차량도 지난해부터 오는 2030년까지 매년 1만 대 이상, 총 13만여 대를 전기차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현대차그룹은 인도네시아의 전기차 현지화 전략에 부응하고 지속 가능한 배터리셀 공급을 위해 LG에너지솔루션과 손잡고 배터리셀 공장을 건설 중이다.
이 합작공장의 배터리셀은 오는 2024년부터 생산되는 현대차와 기아의 전용 전기차를 비롯해 향후 개발될 다양한 전기차에 탑재될 예정이다.
아세안자유무역협정(AFTA)에 따라 지난 2018년부터 부품 현지화율 40% 이상일 경우 협정 참가국 간 무관세 혜택이 주어진다.
이 협정으로 현대차는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생산한 자동차를 아세안 국가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인도네시아는 지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연 100만 대 이상의 자동차가 판매된 아세안 최대 자동차 시장이다.
지난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확산과 반도체 부품 부족 현상 등으로 인해 판매가 주춤했으나 2025년 이후 다시 연 100만대 이상 판매되는 시장이 될 것으로 현대차는 전망하고 있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 아세안 주요 5개국의 자동차 시장이 오는 2025년 약 358만 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외에도 철저한 아세안 전략 모델 개발을 위해 사전에 별도 조직을 구성하는 등 본사와 인도네시아 현지 간 상품개발부터 양산까지 긴밀한 협업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현지에 최적화된 경쟁력 있는 제품 출시를 위해 국내와 현지 부품사 간의 기술 제휴를 추진하는 등 현지 부품사의 기술 역량도 강화했다.
또 현대차는 현지 온‧오프라인 연계 인프라 구축을 위해 온라인 판매 플랫폼 ‘클릭투바이(Click to Buy)’를 구축한다. 인도네시아 브랜드 최초로 온라인에서 금융‧결제까지 가능한 온라인 완전 판매를 구현했다는 게 현대차의 설명이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