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장준형 기자] 국토교통부가 15일 구리 오산 용인 등 수도권 3곳, 청주 제주등 비수도권 2곳에 8만호 규모의 신규 택지 후보지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김포한강2(4만6천호), 올해 6월 평택지제역 역세권(3만3000호)·진주 문산(6000호)에 이은 윤석열 정부의 세 번째 신규 공공택지 발표다.
![]() |
▲ 김오진 국토교통부 1차관(가운데)이 신규택지 후보지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수도권 신규 택지는 오산세교3(3만1천호), 용인이동(1만6000호), 구리토평2(1만8500호)로, 총 6만 5500호를 공급한다.
비수도권에서는 일자리와 인구가 증가세인 충북 청주분평2(9천호)와 오랫동안 공공주택 공급이 적었던 제주화북2(5500호)에 1만4500호를 공급한다.
국토부는 ▲ 주택 수요가 충분한 곳 ▲ 광역교통 대책을 구축할 수 있는 곳 ▲난개발을 방지하면서 주변 지역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곳 ▲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곳 등 4개 기준을 두고 신규 택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오산세교3은 이번에 발표한 신규 택지 중 규모가 가장 크며 오산시 가수동, 가장동, 궐동 등 433만㎡(131만평) 일대에 조성한다.
이곳은 화성.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고 KTX25년 개통·GTX-C 공약사항 등 철도교통을 기반으로 서울 접근성이 우수하다.
정부는 이런 입지 특성을 고려해 연구·개발(R&D) 업무 등 반도체산업 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1·2지구 거주자까지 이용할 수 있는 복합커뮤니티시설을 만들어 자족형 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용인이동은 정부가 지난 3월 발표한 평택지제역 역세권 신규 택지와 같은 '반도체 신도시"다.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 천리, 묵리, 시미리 일대 228만㎡(69만평)에 조성된다.
정부는 용인이동은 첨단 IT 인재들의 배후주거지 공급이 필요한 지역으로 봤다. 또한 스포츠, 낚시, 레저 등 여가특화단지를 만들고 상업·문화·교육기능을 강화해 청년들이 '직주근접'을 누리며 여가도 즐길 수 있는 도시로 조성하기로 했다.
구리토평2는 한강변이면서 서울 동부권과 맞닿아 있어 서울·수도권 주민들의 주택수요가 높은 지역이다. 구리 교문동, 수택동, 아천동, 토평동 일대 292만㎡(88만평)에 조성된다.
정부는 이 지구가 한강변이라는 장점을 활용해 주거단지는 한강 조망으로 특화하고, 수변 여가, 레저 공간도 조성한다. 한강변 지역은 조망·도시디자인 특화 구역으로 설정해 세계적 수준의 도시 경관을 연출하겠다고 밝혔다.
청주분평2는 청주시 서원구 분평동, 장성동, 장암동 일대 130만㎡(39만평)에 조성된다.
청주오송의 산업단지 신설,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공장 증설 등 일자리와 함께 청주시 인구 증가세로 주택수요가 풍부하다고 전망했다.
제주화북2 지구는 제주시 도련일동, 화북이동, 영평동 일대 92만㎡(28만평)다.
국토부는 제주 인구가 최근 10년간 15%나 증가한 것에 비해 공공주택 공급이 적고, 주거·상업기능이 발달한 제주 서부권에 동부권은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계획적인 택지 개발이 필요한 지역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모든 신규 택지 지구를 기존 도심, 택지지구, 산업단지와 연계해 개발하기로 했다.
출퇴근 교통 불편이 없도록 KTX, GTX 등 철도역으로 연결되는 대중교통은 입주 시점에 맞춰 개통할 계획으로 완성도 높은 통합 자족생활권으로 조성한다고 밝혔다.
또한 자연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공원녹지를 지구 면적의 30% 내외 확보한다.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여 지구 내 어린이집, 아이돌봄센터 등 보육시설, 도서관 등 문화시설, 병원·학원·까페 등 지원시설이 한곳에 집적된 '아이돌봄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한편 국토부는 공공주택지구의 투기 근절을 위해 예방·적발·처벌·환수라는 4대 영역의 투기방지 대책을 철저하게 시행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2025년 상반기까지 신규 택지의 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2026년 하반기 지구계획 승인을 거친 뒤 2027년 상반기에는 최초 사전청약과 주택 사업계획 승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각종 행정 절차와 토지 수용에 걸리는 기간을 고려하면 입주는 2030년 이후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오진 국토부 1차관은 "입지 여건에 따라 도로, 대중교통 노선 등을 신설·확장해 교통 여건을 대폭 개선하겠다"며 "특히 선(先) 교통, 후(後) 입주 실현을 위해 신규 택지 발표 직후 광역교통 개선대책 수립에 착수해 지구 지정 후 1년 내 확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각 지역의 미래계획에 맞춰 선제적으로 계획된 택지공급이라는 점과 구체적이고 무리한 청사진이 아닌 손댈 수 있는, 실현 가능한 범위의 추진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다"라고 평가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