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사 직접 찾아 안전교육, 전문기관과 관리 강화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포스코 포항·광양제철소가 하청업체 근로자들에게 공포의 현장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기업시민헌장'을 발표하는 등 작업 환경 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산업재해 사고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의 공개 내용을 보면 포스코 중대재해 사망자 76%가 하청업체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6년부터 2021년 2월까지 포스코 포항·광양제철소의 중대재해 발생현황을 보면, 총 13건으로 17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었다. 또한 전체 산재(사고·질병) 중 87%가 사고로 인한 것으로 조사됐다.
![]() |
▲포스코 사옥 전경. [사진=연합뉴스] |
지난 2016년부터 21년 2월까지 중대재해로 인해 사망한 근로자는 포항제철소 8건(11명), 광양제철소 5건(5명)이며, 전체 사망한 근로자 17명 중 13명(76%)이 하청업체 근로자였다. 하청업체 사망근로자는 포항제철소에서 9명, 광양제철소에서 4명이 사망했다.
연도별로 전체 중대재해 발생현황은 2016년 6건(6명), 2018년 2건(5명), 2019년 4건(4명), 2020년 1건(1명), 2021년 1건(1명)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취임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년 간 법 위반 사항을 보면 특히 산재사고가 많았다. 산업안전보건법 위반·화학물질관리법 위반·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위반·고압가스안전관리법 위반 등 산업안전 관련이 26건(57.8%)으로 가장 많았다.
뒤로 구제명령 미이행·공정대표의무 위반·부당해고 구제명령·부당노동행위 등 노동 관련 10건(22.2%), 대기환경보전법 위반·폐기물관리법 위반 등 환경 관련 7건(15.6%), 불공정행위 1건(4.4%) 순으로 나타났다.
산재 처리 건수도 줄어들지 않았다. 지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포스코의 산재(사고·질병) 처리 현황을 보면, 산재 승인건수는 총 211건이며 이중 사고승인이 183건, 질병승인 28건으로 전체 산재승인건수의 86.7%를 차지했다. 이는 사고로 인한 산재 처리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포스코 중대재해(사망사고) 발생 현황. [사진=고용노동부] |
연도별 사고관련 산재 처리 승인의 경우 2019년 38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 2011년 25건, 2020년 19건 순으로 나타났고, 질병관련 산재처리 승인의 경우, 2020년 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2018년 7건, 2019년 5건 등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포스코는 국회는 물론 환경단체, 시민단체, 지역주민, 노동조합 등으로부터 중대재해, 산재산고, 부당해고,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지속적인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포스코의 중대재해 사고, 산재처리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며 "포스코는 면피용 대책이 아닌, 중대재해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관계사를 위해 '찾아가는 안전버스'를 운영하는 등 관계사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안전교육을 제공하고, 외부 전문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안전관리체계를 진단해 문제점을 발굴 및 개선하는 등 관계사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근로자의 의견을 경청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중시하는 문화를 조성해 나가고 있다"고 해명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