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정진성 기자] 각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과 지역경제 등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 다른 지자체와 공유하며 정책 수립에 활용하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행정안전부는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 'e호조+(플러스)' 구축 3단계의 일환으로 지자체 정책지원시스템의 시험 운영을 완료하고 28일부터 전 지자체를 대상으로 제공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개시되는 정책지원시스템은 2007년부터 축적된 지자체의 세입, 세출, 결산 등 지방재정 데이터와 통계청 등의 지역경제·사회 데이터를 활용해 8000여 지표를 530개의 화면에 제공한다.
종합지역 현황을 통해 지방재정과 지역경제·사회 현황을 전국, 시·도, 시·군·구 단위까지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해 지자체 간 비교 분석할 수 있고 데이터 기반 분석기능을 활용, 다양한 통계정보를 사용자 관점에서 도표, 차트 등으로 분석할 수 있게 했다.
지자체의 모든 사업에 대해 예산서와 결산 정보를 산출 근거 단위까지 상호 조회할 수 있도록 해 지자체 간 정보 공유를 강화했다. 지역 상황 전망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재정 규모, 재원 분담 추이, 당해연도 집행 추계와 가용재원 추계를 제공한다.
행안부는 데이터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지자체 일반 공무원들이 더 쉽게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언어모델 인공지능(AI)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지속해서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