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편집국] 오늘 어떤 향수를 사용하셨는가? 향기산업은 국내 시장 규모만 2025년 1조원 이상으로 예상되고 최근 향기산업시장이 커지면서 다양한 향수에 대한 관심 또한 지대하다. 최근 대부분의 향수는 합성향으로 조향되지만, 합성향이 나오기 이전 고대 시대부터 향기는 역사와 함께 진화했으며 이러한 향수, 향기의 역사에는 자연에서 나오는 식물의 향기인 에센셜오일 이야기를 빠트릴 수 없다.
![]() |
▲ 사진=픽사베이 |
◆ 식물의 면역력인 향기물질
인간은 식물과 진화했고 식물에서 영양분을 섭취하고 식물로 스스로 치료했다.
피톤치드 뿜어내는 울창한 숲에 가면 스트레스가 완화되고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어르신들이 큰 지병이 생겼을 때, 숲속이나 자연과 가까운 곳에 새로이 터전을 마련하는 것도 자연의 힘으로 건강을 회복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숲의 어떤 성분 때문에 인간이 회복을 경험하게 되는 것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식물의 향기물질인 에센셜오일을 주목해 보도록 하자.
인간은 약초와 향이 나는 식물들의 진정 강장효과를 알게 되고 주변에서 자라는 식물로 천연향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인간은 식물들 중 향기물질을 가지고 있는 약 200여종의 식물에서 천연향을 추출해 내어 사용하는데, 이 식물들은 식물계 중에서 가장 진화된 식물에 속한다.
식물들은 자기자신을 곤충으로부터 보호하고 성장과 번식 그리고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자연반응적 물질로 향기물질을 만들어 낸다. 인간은 예로부터 건강을 지키고 아름다움을 유지하는 등의 이유로 식물의 향기물질을 추출해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식물의 향기를 우리는 에센셜오일이라 부른다. 그 역사는 약초의 역사와 함께 하며 이는 곳 향수의 역사가 된다.
고대의 향수는 현재처럼 천연의 에센셜오일을 케미컬로 만들어낸 합성향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100%자연(식물-약초와 동물)에서 얻어낸 천연향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 |
▲ 사진=픽사베이 |
◆ 향수의 시작은 신과 소통하기 위한 목적으로
향수인 Perfume의 어원은 “통해서” 라는 뜻의 퍼(per)’와 ‘연기(smoke)’를 의미하는 ‘푸무스(fumus)’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동물을 태워 제사를 지낼 때 나는 악취를 없애기 위해 유향(현재의 프랑킨센스, 나무의 수지, 인센스)을 태워 좋은 향기를 통해 신과의 교감을 원했다.
이렇듯 초창기 향수는 제사의 목적으로 사용됐다. (다음편에 계속...)
![]() |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