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 거래·국세청 추징금 책임 등 공방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국내 3위 에틸렌 생산업체 여천NCC의 지분을 각각 50%씩 보유한 한화와 DL이 실적 부진의 책임과 경영 정상화 방안을 두고 연일 대립하고 있다.
DL케미칼은 여천NCC 자금 지원을 위해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으나, 구체적인 지원 방식에 대해서는 한화 측과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부도 위기에 놓인 여천NCC가 당장의 유동성 위기를 넘길 가능성은 있지만, 공동 대주주 간 갈등이 이어지면서 정상화 과정이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 |
▲여천NCC 여수 제2사업장 전경 [사진=여천NCC] |
한화그룹은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DL그룹이 저가 거래로 여천NCC에 상당한 손실을 안겼다며 부도 위기 극복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전날 DL그룹이 유상증자를 전격 결정했음에도, 여천NCC에 대한 직접적인 현금 지원 규모를 명시하지 않은 점을 문제 삼으며 추가 조치를 요구한 것이다.
특히 한화는 DL 측의 원료 공급 계약과 국세청 세무조사 결과를 거론했다. 한화에 따르면, 올해 초 여천NCC는 국세청 세무조사에서 에틸렌과 C4R1(합성고무 원료) 등을 시세보다 낮게 판매한 사실이 드러나 총 1006억원의 법인세를 추징당했다. 이 중 DL그룹과의 거래에서 발생한 금액이 962억원으로 전체의 96%를 차지했고, 한화 거래분은 44억원(4%)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한화 측은 “국세청은 DL이 부당한 이익을 취한 것으로 보고 법인세를 부과했다”며 “한화는 이를 수용해 계약 조건을 공정하게 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DL 측의 저가 거래가 추징 사태를 초래했다는 주장이다.
반면 DL은 전날 입장문에서 “DL은 처음부터 여천NCC의 산업 경쟁력 유지가 가능한 가격으로 원료 공급 협상을 제안해왔다”며 “한화는 여천NCC의 정당한 이익을 줄이면서까지 자사에 유리한 조건만을 고집했다”고 반박했다.
당초 현금 지원을 유보했던 DL이 유상증자를 통해 지원 의사를 밝히며 봉합되는 듯했던 갈등은 원료 재계약 문제를 둘러싸고 다시 불거졌다. 이에 따라 여천NCC를 둘러싼 긴장 국면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여수산단의 한 관계자는 “여수 지역에서도 이번 사안은 큰 관심사”라며 “여천NCC 사태의 결말에 따라 지역 경제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