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자산운용은 미국 중장기 국채에 투자하는 ‘KODEX 미국10년국채액티브(H)’ 상장지수펀드(ETF)를 19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고 밝혔다.
KODEX 미국10년국채액티브(H)는 금리 하락 시 자본 차익을 얻을 수 있는 미국 국채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만기 7~10년 구간의 미국 국채를 30% 이하로 담고 나머지는 미국에 상장된 미국 10년 국채 ETF에 투자한다.
![]() |
▲[사진=삼성자산운용] |
미국 10년물 국채는 주택담보·학자금 대출 금리, 기업 자금 조달 비용 등과 직결돼 경기 전반의 건강성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금리 인하기에는 10년물 금리가 30년물보다 인하 효과를 더 빠르게 반영하는 특징이 있다. 가중평균만기(듀레이션)가 짧아 변동성이 작다는 점도 장점이다. 금리 하락 속도가 예상보다 느리더라도 손실 폭을 줄일 수 있다.
KODEX 미국10년국채액티브(H)는 매월 15일 기준으로 월중 배당을 지급한다. 환헤지 전략을 통해 환율 변동 영향도 차단했다. 달러 강세·약세와 무관하게 미국 10년 국채의 가격 변동성에만 집중한다.
박성철 삼성자산운용 ETF운용1팀 팀장은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 정책 결정에 고용 지표를 중요시하겠다는 밝혀온 가운데 7월 미국 고용 지표가 큰 폭으로 예상치를 밑돌며 9월 정책 금리 인하와 함께 연내 3회 이상 인하까지도 기대되고 있다”며 “KODEX 미국10년국채액티브(H)는 정책 금리 인하기에 더 민첩하게 반응하여 인하 효과는 충분히 가져가면서 월중 배당을 통해 꾸준한 현금흐름까지 제공해드리는 상품”이라고 말했다.
KODEX 미국10년국채액티브(H)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DC)·개인형 퇴직연금(IRP)·연금저축계좌에서 투자 가능하다. 월 배당 구조를 활용하면 매월 중순 분배금을 받아 재투자하면서 절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