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송현섭 기자] 한국도로공사가 자금경색으로 단기 차입금을 확대하면서 지난해말 기준 35조8000억원에 달하는 부채를 보유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8일 더불어민주당 김민기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이 한국도로공사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총부채는 35조8000억원으로 자기자본의 84%가 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2018년 28조1000억원에서 2020년 31조원을 넘은데 이어 지난해 부채규모가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 |
▲한국도로공사가 자금경색으로 단기 차입금을 확대하면서 지난해말 기준 35조8000억원에 달하는 부채를 보유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본사 전경 [사진=연합뉴스] |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도 2018년 80.76%에서 지난해 84.35%로 급상승했다. 작년 하반기 국공채 금리가 5% 후반대로 오르며 공기업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도로공사는 작년 10월 1000억원대 30년 만기 장기채 유찰로 자금경색 국면까지 몰리기도 했다. 결국 단기 채권과 CP(기업어음)을 통해 단기차입금 위주로 자금을 조달할 수밖에 없었다.
심지어 도로공사는 올해 3월과 9월 각각 1000억원씩 3년물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려다 역시 유찰됐다. 결국 지난해 10월 5.1%의 고금리로 5년 만기 CP 1000억원을 발행하고 올해 들어 3월과 5월 각각 5년 만기 CP를 1500억원 규모로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20년 1000억원이던 한국도로공사의 만기 5년이하 단기 차입금 규모는 지난해 5852억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더욱이 올해 들어 6월까지 3000억원의 단기 차입금이 새로 발생한 만큼 연간 단기 차입금이 최소 6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자 비용의 경우 2020년 7736억원에서 작년 8076억원으로 크게 늘었으며 올해 상반기에만 4600억원의 이자를 부담한 만큼 연말까지 9000억원 넘는 이자를 내야할 것으로 보인다.
김민기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은 “한국도로공사의 부채는 수년간 급증했고 지난해 하반기 국공채시장의 위기로 자금경색 때문에 고금리 단기 차입금 이용이 대거 늘었다”며 “과도한 이자 비용 때문에 재무 건전성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에 나서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