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송현섭 기자]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의 65%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감소로 비수도권 중소기업의 70%는 더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11일 제조 중소기업 258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5월 진행한 ‘제조 중소기업 인력난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기업들의 인력난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 |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의 65%는 인력난을 겪고 있으며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감소로 비수도권 중소기업의 70%는 더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IBK기업은행 본점 전경 [사진=IBK기업은행] |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제조 중소기업의 65%는 인력난을 호소했으며 청년층 인구 감소로 어려운 비수도권에서는 70%의 중소기업이 인력난을 겪는다고 답했다. 기업의 45%는 외국인 인력 활용이나 설비 자동화 등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심지어 인력난에 전혀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18%에 달했다. 또 인력난 해소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50%의 기업들은 임금·복지수준 향상을 위한 정부 지원 확대를 꼽았다. 뒤를 이어 중소기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정책이 필요하다는 답변도 21%나 나왔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제조 중소기업이 주로 외국인 인력을 활용해 인력난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기업의 50%이상이 외국인 인력을 활용하는데 반해 수도권에서는 34%으로 외국인 인력 의존도가 낮았다.
비수도권 기업 20%이상은 고질적인 인력난의 근본 원인을 실효성 없는 정부 정책이라고 꼬집었는데 지방 소도시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 높았다.
IBK기업은행 관계자는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실효성 있는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확대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IBK기업은행은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구직자와 중소기업을 매칭해주는 ‘i-one Job’ 플랫폼과 함께 중소기업 근로자 복지 향상을 위한 ‘IBK행복나눔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또 중소기업의 고용안정을 위해 재직기간별로 대출금리는 낮추고 예금금리는 올려주는 ‘중기 근로자 우대 프로그램’도 시행해오고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