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성인은 우울증 발생 위험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슐린 저항성은 세포가 인슐린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해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는 상태로, 당뇨병뿐만 아니라 비만·고혈압 등 다양한 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교수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22년까지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에서 최소 2회 이상 검진받은 23만 3천여 명을 대상으로 HOMA-IR 지표를 활용해 인슐린 저항성과 우울증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우울증은 CES-D 점수 16점 이상을 기준으로 정의했다.
![]() |
▲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교수 연구팀 |
분석 결과, HOMA-IR 값이 가장 높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 대비 우울증 발생 위험이 약 1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세 미만 젊은 성인, 혈당 정상 범위자, 과체중자, 근육 대비 지방량이 많은 사람에서 위험 증가가 더 두드러졌다.
오대종 교수는 “세계 최대 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이 우울증 위험 요인임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정신 건강과 대사 건강이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전상원 교수는 “우울증은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고 다른 신체·정신 질환 위험도 높일 수 있어, 고위험군 조기 선별과 개입이 중요하다”며 “인슐린 저항성 지표를 활용하면 우울증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The Lancet Regional Health - Western Pacific에 게재됐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