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디지털 금융·웹3 플랫폼 띄운다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팀네이버와 두나무가 AI와 웹3(Web3) 기반의 글로벌 기술 생태계 확장을 위해 전략적 결합에 나섰다.
네이버는 향후 5년간 10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하며 기술·금융·플랫폼 간 융합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 |
|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27일 진행된 두나무 합병 기자간담회를 통해 향후 5년간 10조원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
네이버 자회사 네이버 파이낸셜은 27일 서울 네이버 1784 사옥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전날 26일 이사회를 통해 두나무와 포괄적 주식교환을 추진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를 통해 두나무를 네이버 그룹 계열사로 편입하는 ‘기업 융합(Strategic Corporate Integration)’ 구조를 공식화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의장), 송치형 두나무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양사 최고 경영진이 참석해 글로벌 확장 비전과 협력 전략을 발표했다.
![]() |
| ▲오경석 두나무 대표이사가 27일 진행된 두나무 합병 기자간담회를 통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
◆ "AI와 웹3 결합이 차세대 경쟁력"…양사 수장 한목소리
이해진 의장은 “네이버의 AI 기술은 웹3와 결합해야만 차세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며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이 아직 시도하지 않은 영역을 선제적으로 개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 금융 시장 변화 속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보다 빠른의사 결정 구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 역시 “3사가 힘을 합쳐 AI와 블록체인이 결합된 차세대 금융 인프라를 설계하겠다”며 “지급결제를 넘어 금융·생활·콘텐츠를 포괄하는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질서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를 단순 제휴가 아닌 기술·자본·사용자 기반을 통합하려는 ‘풀스택 융합 전략’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어 발표에 나선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번 결합의 핵심을 “글로벌 확장 기반 구축”이라고 정의했다.
최 대표는 “블록체인의 대중화 흐름과 AI의 에이전틱(AI가 스스로 판단·실행하는 형태) 전환이 맞물린 지금은 ‘새로운 기술 질서가 열리는 시점’”이라며 “이 기회를 글로벌 혁신의 레버리지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최 대표는 “이번 딜이 성사되면 사용자–데이터–기술–서비스–자본력이라는 풀라인업을 완성하게 된다”며 “거버넌스·규제 이해관계자들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글로벌 웹3 시장에 과감하게 진출할 준비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 생태계 조성에도 10조 투자…"한국 기술 플랫폼 산업 구조 바꿀 것"
네이버는 간담회에서 AI·웹3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5년간 1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투자 범위에는 ▲AI 인프라 구축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금융 서비스 ▲글로벌 결제·토큰 생태계 ▲관련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이번 기업 결합이 마무리될 경우, 검색·AI 플랫폼 기업 네이버, 3400만 이용자와 연 80조원 결제 규모를 보유한 네이버파이낸셜, 업비트 운영 경험 및 ‘기와체인’ 등 블록체인 기술을 보유한 두나무이 세 축이 통합된 ‘초대형 디지털 기반 플랫폼’이 탄생하게 된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은 우선적으로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한 계열사 편입과 기업융합을 통한 시너지 확대에 집중하고, 추가적인 지배구조변경 보다는 글로벌 시장 진출과 자본시장 접근성 확대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