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 1분기 성장률, 0%대 후반 회복 기대감 '솔솔'
- 조승연 2017.04.02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올해 1분기의 국내총생산(GDP) 분기성장률(전분기 대비)이 0%대 후반을 회복할 것이란 기대가 나타나고 있다. 그 이전의 분기성장률이 연속 두 번 0.5%에 머문 것에서 다소 성장세가 가팔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분기성장률은 지난해 2분기에 0.9%를 기록한 이후 ...
- 4만달러 장담한 1인당 국민소득, 3만 문턱서 '헉헉'
- 조철민 2017.03.28
- [메가경제 조철민 기자] 1인당 국민소득 4만 달러는 고사하고 3만 달러라도 넘어설 날은 언제?
금방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리라 믿었던 1인당 국민소득(GNI) 4만 달러 시대가 오히려 시간이 흐를수록 요원하게 느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1인당 GNI가 워낙 오랜 동안 3만 달러 문턱도 넘어서지 못한 채 2만 달러대 ...
- 한국 경제성장률, 작년보다도 더 내려갈 듯
- 조승연 2017.03.05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최근 삼정KPMG 경제연구원이 내놓은 보고서는 올해의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잡았다. 세계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는 지난해보다도 성장률이 더 후퇴할 것임을 예고한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한 지난해의 한국 경제성장률은 2.7%였다.
2 ...
- 1인당 평균부채, 가처분소득의 1.7배....쓸 돈이 없다
- 조승연 2017.02.22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평균부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결과 지난해 말 현재 2600만원을 기록했다. 4인 가족 기준으로 치면, 가구당 빚이 1억원을 넘어섰다는 얘기가 된다. 우리 국민들이 전반적으로 빚에 짓눌려 살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1인당 평균부채 및 가계빚 증가는 곧바로 소비 위축 ...
- 남성 전업주부, 다시 늘어나는 진정한 까닭은?
- 조승연 2017.01.31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남성 전업주부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여러 분석들이 제기되고 있지만 남성 전업주부 증가는 남성들이 우리 사회에서 일터를 잡기가 이전보다 어려워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사정에 따라 여성이 바깥 활동을 통해 돈벌이를 하고 남성이 집안에서 가사 일을 하는 것도 무방하다는 인식이 확산된 것 역시 하 ...
- 2016 저축현황, 실패했다면 강제저축으로?
- 박인서 2017.01.26
- [메가경제 박인서 기자] 8.66%. 2016년 우리나라 가계저축률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중 5위다.
지난해 OECD가 발표한 2016 저축현황에 따르면 우리 가계의 저축률은 4년 전인 2012년과 비교해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2011년 3.86%, 2012년 3.90%로 3%대에 머물다가 20 ...
- [ME분석] 청년백수 역대최대, 기록 경신의 끝은 어디?
- 조승연 2017.01.15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청년백수 역대최대란 말이 올해엔 사라질 수 있을까. 최악의 경기 침체를 반영하듯 지난해 청년백수 비율이 역대최고를 기록했다. 한번도 취업해본 적이 없는 청년실업자 수 역시 역대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청년 실업자 중 취업 경험이 전무한 청년이 차지하는 비율도 예외 없이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청년 ...
- 청년실업률 최고, 10% 육박....실제론 한집 건너 백수
- 장찬걸 2017.01.11
-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청년실업률이 최고치를 찍었다. 지난해 우리나라 실업자 수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한 것 이상으로 우울한 소식은 청년실업률 최고치 경신이다. 11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청년실업률 집계 대상인 15~29세 연령대의 지난해 실업률은 9.8%까지 치솟았다. 전년보다 개선되기는커녕 오히려 0.6%포 ...
- [ME분석] 국민총소득 감소, 돈 쓰기가 더 어려워졌다는 얘기
- 조승연 2016.12.02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생활물가 인상에 가계부채 액수 및 자영업자 수 증가, 실질 국민총소득 감소 등등....
가뜩이나 생활이 팍팍한데 가계의 살림살이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여기에 최순실 게이트까지 겹쳐 내수가 더 얼어붙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우리 살림이 ...
- [ME분석] 국민연금 수령액, 20년 넘게 부어야 월 89만원
- 조승연 2016.10.24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수령액은 노후 생활비의 절반 수준에 못미치는 수준이다. 20대 중 후반에 직장 생활을 시작해 30년 가까이 재직한 뒤 50대 초중반에 명예퇴직을 하거나 정년퇴임한 중장년층들이 주요 구성원인 20년 이상 가입자들이 매달 받는 국민연금 수령액의 평균치는 약 89만원이었다. 국민연금 ...
- 돈 많을수록 성인 비만율은 더 낮았다
- 장찬걸 2016.10.09
-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성인 비만율도 재산 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결론은 가난한 사람일수록 비만율이 더 높다는 것이었다. 재산이 적을수록, 저학력자일수록 흡연율이 높다는 사실과 함께 또 하나 입맛을 쓰게 만드는 사실이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성인 비만율이 더 높다는 게 새로운 사실은 아니다 ...
- [ME분석] 1인당 금융자산, 음메 기죽어!
- 조승연 2016.09.26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지난해를 기준으로 삼았을 때 한국인 1인당 금융자산은 3397만원 남짓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독일의 알리안츠그룹이 주요국들의 1인당 금융자산을 분석해 내놓은 자료에 따른 것이다. 이 수치는 부채를 뺀 순수 금융자산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수가 느끼는 평균 금융자산은 이 수치보다 낮게 느껴질 수 ...
- [ME분석] 소득 불평등, 고령층 뿐이랴마는...
- 조승연 2016.09.11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우리나라 고령층의 소득 불평등이 심각하다는 것은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2000년에 이미 고령화사회(65세 노인 인구 비중 7% 이상)로 진입했고, 곧 고령사회(노인 인구 비중 14% 이상) 단계에 들어간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령층의 소득 불평등은 간단히 다룰 문제가 아니다 ...
- 한국 청년실업률, 상승일로에서 반전된 듯
- 조승연 2016.08.29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한국 청년실업률이 모처럼 반전되는 분위기를 보이기 시작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이 그같은 분위기를 보여준다. 통계청 동향 자료에 의하면 15~29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집계한 지난달의 한국 청년실업률은 9.2%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
- 5월 출생아수 지난해 동월 대비 5.8% 감소...가임여성 감소, 엎친데 덮친 격
- 장찬걸 2016.07.29
-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우리나라의 지난 5월 출생아 수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8%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인구동향'에 나타난 내용이다. 출생아 수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가임여성 감소인 것으로 분석됐다.
가임여성 감소는 혼인 기피, 혼인 후의 출산 기피 등과 맞물려 우리나 ...
- IMF, 2017년 韓 GDP 성장률 0.1%P 추가....웬일?
- 조승연 2016.07.26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년도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1%포인트 높이는 쪽으로 재조정했다.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재조정할 때마다 하향 조정을 일삼던 것에 비하면 이례적이다. 이번 IMF의 한국 GDP 성장률 재조정은 정례발표와 별도로 지난 23일 중국 청두에서 열린 G20 재 ...
- [ME상식] 1인 자영업자 = 소득 3만불 시대 청년의 자화상?
- 조승연 2016.06.13
-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30대 청년층에서의 1인 자영업자 비율이 늘어가고 있다고 한다. 국민소득 3만불을 바라보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청년층의 자화상이 비참하게 일그러져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13일 공개된 한국노동연구원 분석 자료에 의하면 30대 청년층의 1인 자영업자 수는 지난 3월 기준으로 전년 ...
- 1분기 경제성장률, 또 '찔끔'↑
- 장찬걸 2016.06.02
-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2일 한국은행 발표('2016년 1분기 국민소득-잠정')에 의하면 우리나라 경제의 덩치는 올해 1분기 동안 0.5% 커지는데 그쳤다. 1분기 경제성장률 0.5%는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2%대를 지켜내는 것조차 힘들 것이라는 최악의 전망을 새삼 되새겨보게 만들어주고 있다. 분기 성장률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