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현대자동차 노사가 ‘광주형 일자리 사업’과 관련해 고용안정 보장 등을 주내용으로 하는 합의서를 작성했다.
노조에 따르면 노사는 지난 7일 울산공장 본관에서 특별 고용안정위원회를 열고 '위탁생산 신설법인 관련 특별 합의서'를 만들었다.
노조는 현장 의견 수렴 전까지는 서명을 보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광주형 일자리'를 둘러싼 노사갈등이 해소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월 31일, 기아·현대차노조가 광주형 일자리에 반대하며 확대 간부 파업을 실시했다. [사진 = 연합뉴스]](https://megaeconomy.co.kr/news/data/20190308/p179565871672308_585.jpg)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함께 참여해 자동차 공장을 설립·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임금을 낮춰 일자리 수를 확대하고 중앙정부와 지자체 주도로 복지 등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동안 현대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 도입에 대해 거세게 반발했다. 현대차 노조는 저임금 일자리를 만들어 노동자의 희생을 강요한다고 주장했지만, 결국 여론에 밀려 입장을 바꿨다. 노조는 사업 진행을 막기 어렵다는 판단에 의해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대신 기존 근로자들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하는데 치중하려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합의서에는 "회사는 연 10만대 규모 계획으로 신설되는 위탁생산 신설법인의 경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비지배 주주로서 일정 지분만을 투자해 위탁생산하는 방식으로 참여하며, 위탁생산으로 인해 고용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회사는 현재 생산하지 않는 경차급 차종을 위탁생산 신설법인에 투입하며, 국내공장에서 생산중인 동일 차종을 위탁 생산하지 않는다", "위탁 생산 신설법인의 생산과 관련된 사항은 매월 지부(노조)에 통보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 합의서가 정식으로 채택되면 광주형 일자리를 둘러싼 고용불안 논란은 대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노조는 합의서 작성이 광주형 일자리 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노조는 서명을 유보한 채 현장의 의견을 더 듣고 추진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노조 관계자는 "이번 특별 고용안정위는 광주형 일자리로 인한 조합원의 고용불안이 없도록 조치하는 차원에서 진행된 것으로,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동의나 승인은 아니다"면서 "민주노총, 금속노조, 현대·기아차 노조의 대외적인 광주형 일자리 철회 3년투쟁은 계속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