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 2018] SK텔레콤, '퍼펙트 5G 주제 전시... 360도 5G 영상통화, 아바타 홀로그램 등 소개

통신·미디어 / 장찬걸 / 2018-02-25 22:22:21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5G 시대에는 현실세상이 디지털화 되어 사이버세상으로 들어오게 된다. 안정적이고 안전한 5G 통신망 운용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이 26일(현지시간)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나흘간 열리는 MWC 2018에서 '세상 만물을 5G 안에 품는다'는 주제로 근미래의 모습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완벽한(Perfect) 5G'를 테마로 MWC 행사장 제3홀 내 604㎡ 면적의 단독 전시관을 마련하고, 전 세계에 한층 진화한 통신기술을 공개할 예정이다.



<br>
[사진=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삼성전자와 공동으로 전시장에 5G 기지국을 설치해 360도 5G 영상통화를 시연한다. 관람객은 서로 상대방의 주변 환경을 입체적으로 보면서 영상통화를 체험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또한 세계 최초 5G NSA(Non-Standalone) 표준 기반 무선 전송 기술, 5G-LTE를 연동해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구성하는 '5G 넥스트젠 코어(NextGen Core)', AI 기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탱고(TANGO)', 중앙에서 5G 유선망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는 'SDN 플랫폼' 등 네트워크 선도 기술들을 선보인다.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은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로 나눠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5G 핵심기술이다.

SK텔레콤은 가상 아바타를 보면서 대화하는 '홀로박스'와 '소셜 VR' 의 실감 미디어 2종도 선보인다. 홀로그램은 초고화질의 3차원 영상을 전송하기 때문에 5G 없이는 실현 불가능한 서비스다.

'홀로박스(HoloBox)'는 홀로그램 아바타를 보면서 대화하는 미래형 인공지능 서비스다. MWC에서 선보이는 '홀로박스'에는 SK텔레콤 인공지능 서비스 '누구(NUGU)'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소셜(Social) VR'은 VR 기기를 쓰고 자신의 아바타로 가상공간 속으로 들어가 다른 참여자들과 옥수수 등 동영상 콘텐츠를 보며 대화 가능한 서비스다.

SK텔레콤은 MWC 2018에서 모든 사물을 안정적으로 연결해주는 다양한 통신기술과 안정적인 망 운영을 보여준다. 자율주행차와 저전력 사물인터넷(IoT) 통신망 'Cat.M1' 등이다.

SK텔레콤은 자율주행차를 전시관 한 가운데에 공개한다. 관람객은 별도 디스플레이를 통해 K-시티 자율주행 영상, 5G 기반 차량-사물 간 통신(V2X) 기술 등을 볼 수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2월 초 국토부와 손잡고 K-시티에서 자율주행 시연을 성공리에 마친 바 있다.


관람객은 전시 부스에서 주변 상황을 기록해 사진과 음성 데이터로 전송하는 'IoT 블랙박스', 사람의 혈당을 측정해 개인건강관리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혈당측정기' 등 'Cat.M1' 상용화에 맞춰 출시될 IoT 서비스들을 미리 만나볼 수 있다.


올해 4월 상용화 예정인 'Cat.M1'은 LoRa, NB-IoT 대비 전송속도가 빠르고 전력효율이 높은 저전력 IoT 통신망이다. 저용량 사진과 음성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SK텔레콤은 8년째 꾸준히 개발해 온 '양자암호통신'도 전시한다. 관람객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크기(5x5mm)의 '양자난수생성기' 칩을 눈 앞에서 볼 수 있다.


'양자암호통신'은 양자의 특성을 이용한 통신기술로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해 5G 시대에 반드시 필요한 보안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공공안전(Public Safety)' 부스에서는 한국에서 시연한 T라이브캐스터, 바디캠 등 공공 안전 솔루션과 함께, '단말간 직접통신(D2D)'이 일반에 최초 공개된다.

‘T라이브캐스터’는 드론에 탑재 가능한 소형 영상 중계 장비로 바디캠과 연동해 재난현장 관제 솔루션으로 활용된다.


‘단말간 직접통신’은 일반 휴대폰처럼 통신망과 연결해 사용하다가, 통신 음영지역에 있을 때도 통신망 없이 단말간 직접 통화를 할 수 있다. 단말에 디지털무선통신(DMR) 칩이 내장돼 반경 1Km 내 통화가 가능하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찬걸 장찬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