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AI 정상회의 개막, 개발·활용 관련 국제적 합의 이룰까

글로벌경제 / 신승민 기자 / 2025-02-10 17:27:01
네이버·삼성·LG 등 국내 기업 대표 참석
마크롱, 1090억 유로 투자 발표 예정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딥시크 쇼크로 전 세계 AI 논의가 뜨거운 가운데, 프랑스 파리에서 현지시간 10일부터 11일까지 ‘AI 행동 정상회의(AI Action Summit)’가 열린다. 이번 회의에는 각국 정부 및 기업, 학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AI의 공익적 활용과 규제, 혁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9일 파리 AI 정상회의를 앞두고 인터뷰에 응하고 있다. [사진=EPA 연합뉴스]

 

AI 행동 정상회의는 2023년 영국을 시작으로 지난해 서울에 이어 이번에 3회째를 맞는다. 이번 회의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공동 주최한다. J.D. 밴슨 미국 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장궈칭 중국 국무원 부총리 등 각국 대표들이 참여한다.

 

기업 대표로는 샘 올트먼 오픈AI CEO,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회장,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등 글로벌 AI 업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를 비롯해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CTO,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 등이 기업 대표로 참석하며, 정부 측에서는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참가해 한국의 AI 정책을 공유할 계획이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공익을 위한 AI 활용(Public Interest AI) ▲일자리의 미래(Future of Work) ▲혁신과 문화(Innovation and Culture) ▲AI 신뢰 구축(Trust in AI) ▲글로벌 AI 거버넌스(Global AI Governance) 등 5가지 주요 의제가 논의될 예정이다.

 

프랑스는 이번 회의를 통해 AI 기술이 모든 국가에 공평하게 기여하고, 인류의 가치를 존중하며 활용될 수 있도록 글로벌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주최 측은 “AI는 신뢰를 바탕으로 기술 발전의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내재된 위험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인류에게 진정한 발전과 역량 강화를 제공해야 한다”며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혁신을 지원하면서도 적절한 규제와 권리 보호를 조화시키는 유럽의 균형 잡힌 AI 접근법을 반영해 AI 기술 발전이 모든 국가, 특히 개발도상국의 이익에 기여하도록 한다는 목표를 담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영국과 한국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는 AI의 안전성과 신뢰성, AI 관련 규제 등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반면 이번 회의는 딥시크 쇼크와 빅테크 기업들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 발표 등 그 어느 때보다 AI 패권 경쟁이 치열한 시점에 열리기 때문에 이번 정상회의에서 AI 개발 및 활용과 관련한 글로벌 합의가 어떻게 형성될지 주목된다.

 

이번 정상회의 이후 유럽의 AI 정책 변화가 생길 가능성도 관측된다. 유럽연합은 세계 최초로 포괄적 AI 규제법을 제정하는 등 규제 중심의 AI 정책을 펼쳤으나, 최근에는 AI 경쟁 구도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프랑스 일간지 르몽드 기고문에서 “AI 규제법 시행을 추진하는 유럽 규제 당국은 자신들의 결정이 미래 기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해야 한다”며 “성장과 일자리, 발전을 원한다면 혁신가가 혁신하고 개발자가 개발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에 프랑스도 AI 경쟁력 확보에 적극 나서는 움직임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1090억 유로(약 163조 5000억 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그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유럽이 단순한 AI 소비자로 전락할 위험에 처해 있다”고 밝힌 바 있다.“이번 정상회의가 유럽에 경종(wake-up call)이 되기를 바란다”며 “유럽이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되찾기 위한 변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의의 안건은 이전에 이미 정해졌기 때문에 딥시크 쇼크가 회의 안건에 직접적으로 반영됐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국가 간 신경전을 키우는 데는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지난 서밋에서는 주로 AI 사용의 안전성과 규제가 주요 아젠다였지만,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포용성을 갖춘 AI가 핵심 논의 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