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코로나19 여파로 면세점 영업 불가능한 것 감안하면 선방"
[메가경제= 최낙형 기자] '코로나19'의 여파로 면세점 사업에서 큰 타격을 입은 신세계가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 431억원 손실을 입으면서 적자 전환했다.
신세계는 올해 2분기 매출 1조144억원, 영업이익 431억원 손실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163.3% 감소했고, 매출도 작년 동기와 비교해 32.6% 줄었다. 당기 순익도 1063억원 손실을 보여 적자로 돌아섰다.
![]() |
▲ 신세계 [사진= 연합뉴스 제공] |
신세계가 분기 영업적자를 기록한 것은 2011년 백화점과 이마트 부문을 분리한 이후 처음이다.
영업적자로 돌아선 것에는 코로나19로 인한 면세점 사업 부진이 큰 영향을 끼쳤다. 면세점 사업은 2분기 370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해 지난해 2분기보다 악화됐다.
하지만 신세계는 국내외 유통시장에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고 특히 인천공항 등 면세점을 이용하는 여행객이 사실상 사라진 것을 감안하면 선방한 것으로 자평했다.
신세계는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막혀 사실상 정상적인 영업이 불가능했던 면세점을 제외하면 매출액 7037억원(전년 대비 -4.5%), 영업이익은 61억원 손실을 기록해 나쁘지 않은 실적"이라고 설명했다.
2분기 백화점 사업의 매출액은 3539억원으로 전년 대비 3.7%로 감소했고, 전분기 대비 6.9% 신장했다. 영업이익은 143억원으로 전년 대비 56.3% 감소했다.
신세계는 "코로나19 영향이 가장 컸던 3월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28% 감소했지만 선제적 방역과 대형점포 중심으로 매출 회복을 보이며 6월에는 신장세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까사미아는 최근 '집콕' 트렌드로 주거 관련 소비가 증가하며 전년 대비 매출이 53.2%나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30억원으로 전년 2분기(-34억원)보다 적자 폭이 줄었다.
신세계인터내셔날(SI)은 코로나19에 따른 면세점 화장품 판매 감소로 매출액이 전년 대비 4.9% 감소한 2871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26억원 손실을 기록했다.
신세계 관계자는 "올 2분기 백화점의 빠른 매출 회복세를 중심으로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선방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 관계자는 "올 하반기 인천공항 임대료 협의와 국내 면세점 매출 반등 등 면세사업의 완만한 회복과 SI의 국내 패션 사업 재편에 따른 수익성 강화, 중국 온라인 판매채널 확장, 까사미아의 지속적 매출 신장까지 더해져 3분기에는 보다 더 개선된 실적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