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요금제 일부 구간 신규 가입 중단 및 통합요금제 도입키로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통신 3사가 가계 통신비 부담 완화를 위한 개선 방안 마련에 나섰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영섭 KT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와 취임 후 첫 간담회를 열고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을 논의했다.
![]() |
▲ 13일 열린 간담회에서 (왼쪽부터) 유영상 SKT 대표,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김영섭 KT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가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유 장관은 LTE 요금 역전 문제 해결을 위해 통신사들이 신속하게 요금제 개편을 진행할 것을 요청했으며, 이에 통신사들은 통합요금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LTE 요금 역전 현상은 통신사들이 5G 요금제 가격을 인하하면서 LTE 요금제가 상대적으로 더 비싸지게 된 상황을 말한다. 이 문제는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지적됐다. 약 1300만명의 이용자들이 5G보다 속도가 더 느린 LTE 요금제를 더 비싼 값을 지불하고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5G나 LTE 등 통신 세대에 관계없이 데이터 용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통합요금제’ 도입이 거론됐다. 이미 해외 일부 통신사에서는 통합요금제를 운영 중이다.
통신사들은 내년부터 통합요금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KT는 내년 1분기 중 통합요금제를 시행할 예정이며, SKT와 LG유플러스도 전산 시스템 정비를 마치는 대로 통합요금제를 적용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요금제 시행 방안은 통신사와 협의해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시에 통신 3사는 5G보다 비싼 LTE 요금제 신규 가입을 연내에 중단하고, LTE 이용 고객들이 5G 요금제로 옮기도록 할 방침이다. 기존 요금제를 유지하고 싶은 이용자는 서비스 해지 전까지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요금제 역전 현상에 대해 메가경제에 “속도가 더 빠른 5G 요금제가 출시됐음에도 기기결합 혜택이나 특정 이유 때문에 LTE 요금제를 고집하는 고객들도 있다"며 “다만, 특정 이유 때문이 아니라 요금 체계를 잘 알지 못해 더 비싼 요금제를 사용하는 고객들이 오해하지 않도록 고객 안내를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통합요금제 출시에 관해서는 “기존에는 5G 요금제와 LTE 요금제 구간을 일일이 살펴봐야 했다면, 통합요금제는 사용량만 고려하면 돼 고객들이 자신에게 유리한 요금제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통신업계는 통합요금제 도입이 고객의 데이터 사용량에 맞춘 선택의 폭을 넓히고, 불필요한 요금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통합요금제와 일부 LTE 요금제 신규 가입 중단 시점은 전산 시스템 반영과 고객 의견 수렴 등 실무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시행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들은 고객들의 피드백을 고려한 최종 계획을 마련한 후, 구체적인 출시 일정을 발표할 방침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통신비 문제 외에도 불법 스팸 근절, 소상공인 지원, AI 투자 확대 등 통신 현안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유 장관은 불법 스팸으로 인해 국민들이 겪는 피해를 언급하며, 통신사의 적극적인 대처를 당부했다. 특히, 만 12세 이하 아동에게는 새 번호나 장기 미사용 번호를 우선 배정해 불법 스팸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어 유 장관은 통신 3사 대표들에게 중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더욱 적극적인 역할을 해주기를 당부했으며, 인공지능(AI) 분야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부와 민간의 협업을 강조했다.
유상임 장관은 “간담회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한 우리 통신업계가 이제는 국민 만족도 측면에서도 최고의 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