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건전성 총력...중앙회 "연말 턴어라운드 기대"

금융·보험 / 노규호 기자 / 2025-05-30 14:31:01
저축은행 1분기 440억원 순익...연체율은 9%로 전년비 0.48%p↑
"수익성 점진적 증가...자본적정성·유동성 법정 기준 양호해"
신용대출보다 보증부대출 쏠림...서민지원 역량 떨어진단 지적도

[메가경제=노규호 기자]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상각 매각에 나선 저축은행권이 올 1분기 440억원의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연말 본격적인 턴어라운드(흑자전환)가 가능할 것으로 봤지만, 내수침체와 함께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이 예상되는 만큼 쉽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상·매각에 나선 저축은행권이 올 1분기 440억원의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연말 본격적인 턴어라운드(흑자전환)가 가능할 것으로 봤지만, 내수침체와 함께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이 예상되는 만큼 쉽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사진= 저축은행중앙회]

 

30일 저축은행중앙회 ‘1분기 저축은행 업권 결산결과’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440억원으로 전년 동기(당기순손실 1543억원) 대비 1983억원 증가했다.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에 따른 대손충당금 전입액 감소 등의 영향으로 손실 규모가 개선됐다.

 

반면 연체율은 9.00%로 전년 말(8.52%) 대비 0.48%포인트 상승했다. 이중 가계대출 연체율은 4.72%로 같은 기간(4.53%) 대비 0.19%포인트 올랐다.

 

중앙회는 저축은행들이 부실채권 감축을 위해 1조3000억원 규모의 상각매각 등 자구책을 찾고 있지만, 연체여신 증가와 여신 규모 감소(-1.4%)에 따른 모수효과로 연체율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저축은행 업권의 여·수신 금액은 각각 96조5000억원, 99조6000억원으로 모두 100조원대 밑으로 떨어졌다. 보수적인 영업기조 및 수신만기 구조 조정에 따른 여유자금 축소 등이 원인으로 거론된다.

 

그럼에도 저축은행 업권에서는 안정적인 자본적정성, 유동성 비율을 이유로 들어 연말 본격적인 턴어라운드를 기대한다는 입장이다.

 

자본건전성 지표로 쓰이는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BIS) 비율은 15.28%로 전년 말(15.02%) 대비 0.26%포인트 상승했다. 법정기준 대비 2배 수준을 유지 중이다. 유동성비율도 207.30%로 법정기준(100%)을 107.30%포인트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회 관계자는 “현재 저축은행권이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대선 이후 정책에 따른 부동산 경기 활성화와 관세 유예 종료 후 시장 변화 상황을 미루어봤을 때 4분기 영업 분위기의 반전이 예상된다”고 봤다.

 

다만 “경기회복 둔화에 따른 내수침체 장기화, 대내외 불확실성 등으로 당분간 어려운 영업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저축은행 전반의 ‘서민지원’ 역량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저축은행이 올해 1분기 신용대출을 줄이고 햇살론·사잇돌2 등 정책 보증부대출을 늘리는 데 그쳐 전반적인 서민지원 체력이 부실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이 줄어드는 것은 저축은행의 건전성·수익성 개선으로 대출 심사기준 세분화가 일어난 결과”라며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햇살론과 같은 정책 보증대출을 늘려 서민지원을 가능케 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노규호 기자 노규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포토뉴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