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검토 병행…결제 인프라 활용 시장 진입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카드업계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대비해 여신금융협회를 중심으로 전방위 대응 전략을 본격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카드사들이 공동으로 상표권을 출원하는 한편, 관련 법 개정 추진과 기술 검토를 병행하며 시장 진출 기반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 |
▲ 카드업계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대비해 전방위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
13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 삼성, KB국민, 현대, 롯데, 우리, 하나, 비씨, NH농협카드 등 9개 주요 카드사는 여신금융협회를 중심으로 ‘CARD KRW’ 등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의 공동 출원을 준비하고 있다. 앞서 삼성카드와 NH농협카드를 제외한 7개 카드사는 개별적으로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이미 출원했으나, 이용자 분산 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협회 차원에서 공동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번 공동 대응은 지난달 30일 출범한 ‘스테이블코인 제도권화 대비 태스크포스(TF)’가 출범한 지 2주 만에 이뤄진 첫 협력 사례다. TF는 앞으로 한 달간 매주 실무자 회의와 외부 전문가 초청 스터디를 병행하며,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TF는 제도 분과와 기술 분과로 구성해 운영된다. 제도 분과는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및 디지털자산기본법 입법 동향을 면밀히 살피며 대응 전략을 마련 중이다. 현행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르면 카드사는 법에 명시된 업무만 수행할 수 있어,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무를 부수업무 또는 겸영업에 포함하는 법 개정이 필수적이다.
기술 분과는 QR 결제, 단말기 환경과 관계없이 스테이블코인을 카드망에 연동하는 기술 구현에 집중하고 있으며, 공동 상표권 출원 업무도 맡고 있다. 지난 킥오프 회의에는 삼정 KPMG 법무법인 외부 자문단이 참여해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 설계와 실험 방안을 논의했다.
카드업계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유통보다는 전국 가맹점 네트워크와 탄탄한 회원 기반을 활용해 지급결제 시장에 신속히 진입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핵심 사업 분야는 스테이블코인 지급 및 이전업, 보관 및 관리업, 매매 및 교환대행업 등 3가지로, 카드사들이 본업을 통해 쌓아온 지급결제 전문성과 네트워크가 경쟁력이 될 전망이다. 이미 갖춰진 결제 인프라를 바탕으로 법제화가 완료되는 시점에 맞춰 스테이블코인 특화 간편결제 서비스를 출시한다 구상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아직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 제도 마련이 완료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관련 동향을 지속 모니터링 중" 이라며, “카드사가 기존에 갖춘 역량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제도화가 완료되는 즉시 시장에 안착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