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전쟁 이후 물과 석유의 민낯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왜 사람들을 죽이는거야?” “기름때문이지, 멍청아!”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중)
2015년 개봉한 조지 밀러 감독의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는 핵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된 22세기 지구를 배경으로, 물과 연료를 차지하기 위한 인류의 처절한 생존기를 그려냈다. 맥스(톰하디 분)는 아내와 딸을 잃고 황야를 떠돌다, 임모탄(휴 키스-번 분)의 부하들에게 잡혀 피를 공급하는 노예가 된다. 그러던 중 퓨리오사(샤를리즈 테론 분), 임모탄의 아기 낳는 기계로 전락한 여인들과 함께 필사의 탈출을 감행하는 과정을 영화는 그리고 있다.
영화 속 폭력적인 카르텔과 무정부 상태는 단순한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에 대한 강렬한 메시지를 던진다.
![]() |
▲ 영화 '매드맥스:분노의 도로' [자료=네이버 영화] |
영화 속 물과 석유는 권력과 생존의 상징이었다. 이는 단순한 허구가 아닌, 현실 세계에서도 끊임없이 반복되는 역사적 사실이다. 특히 석유는 산업혁명 이후 인류 문명 발전의 원동력이었지만, 동시에 국가 간 갈등과 전쟁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했다.
2022년 2월 발생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석유를 둘러싼 지정학적 갈등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전쟁의 발단은 우크라이나의 나토가입을 둘러싼 논쟁이었지만, 지금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통해 유럽 에너지 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국제 유가 급등과 글로벌 공급망 붕괴라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며, 전 세계 경제에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석유는 단순한 자원을 넘어, 국제 관계를 좌우하고 경제 질서를 형성하는 강력한 도구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석유, 경제 위기의 불씨를 지피다
매드맥스가 그려낸 디스토피아는 과장된 설정일지라도, 우리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3년부터 1974년에 이르는 중동 전쟁 당시 아랍 산유국들의 석유 무기화 정책 실행, 1978년부터 1980년까지 이란 혁명으로 인한 석유 생산의 대폭 감축 등 두 차례에 걸친 석유 파동으로 큰 혼란을 겪었다.
당시 한국은 산업화 초기 단계로,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석유 가격 급등은 생산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물가 상승을 야기했고, 경제 성장률은 급격히 둔화됐다. 이는 국민들의 삶의 질 저하로 이어졌으며, 사회적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현재 우리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또다시 석유 공급 불안이라는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최근 미국과 유럽연합 등 서방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이유로 러시아의 원유 수출에 대한 제재를 강화했다. 이번 조치에 따른 석유 공급 차질 우려에 국제유가는 하루 만에 2.48%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경기침체와 금융위기와 맞물려 우리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석유 의존 사회의 취약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이번 사태는 마치 영화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에서 묘사된 암울한 미래를 연상케 한다.
![]() |
▲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전쟁 종식을 바라는 평화 행진. [사진=픽사베이] |
전문가들은 이러한 위기 속 우리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친환경 재생에너지 투자를 확대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에너지 안보를 위한 국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선순환적인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아울러 개인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친환경적인 소비 습관을 형성해야 한다.
영화는 결말에서 우리의 미래는 우리 스스로의 선택에게 달려 있다고 일깨워준다. 매드맥스의 암울한 미래를 피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그리고 개인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