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지난달 대여·음식 관련 서비스 소비자불만 증가"

8월 소비자상담건수 총 6만2965건...전달보다 12.1% 줄어

장주희

webmaster@megaeconomy.co.kr | 2019-09-12 17:13:11

[메가경제 장주희 기자] 휴가철이었던 지난달에 대여(렌트)와 음식 관련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빅데이터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지난 8월 전체 상담 건수가 전월 대비 12.1% 감소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승강설비와 공연관람의 증가율이 전년 동월과 전월 대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전년 동월 대비 대여(렌트)서비스(72.7%)는 전년 동월보다 72.7%, 음식 관련 서비스는 전월보다 19.4%가 늘어나며 증가율 상위 품목으로 새롭게 나타났다.



8월 소비자 빅데이터 트렌드. [출처= 한국소비자원]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을 구체적으로 보면, 승강설비(7514.3%)가 월등히 가장 높았고 이어서 전기의류건조기(1946.9%), 각종공연관람(735.7%), 대여(렌트)(72.7%), 투자자문(컨설팅(60.7%) 순이었다.


전월 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승강설비(151.4%)가 가장 높았고 이어서 각종공연관람( 104.9%), 에어컨(23.1%), 음식관련서비스(19.4%), 김치 냉장고(16.9%) 순이었다.


승강설비의 경우는 동일 아파트 단지 주민들의 배상 기준 문의가 많았고, 공연관람의 경우는 공연입장료 환급 지연 등 집단분쟁조정 개시에 따른 절차 안내와 같은 단순 문의 성격의 상담이 큰 부분을 차지했다.


월별 상담 건수 현황. [출처= 한국소비자원]


전년 같은 기간보다 많이 늘어난 ‘대여(렌트) 서비스’의 세부 품목을 보면, 음식물 처리기, 침대 및 매트리스, LED 마스크, 안마의자, 공기청정기 등이었으며 계약 관련 상담과 품질 관련 불만이 주를 이뤘다.


7월보다 소비자 상담이 많이 증가한 ‘음식 관련 서비스’는 포장 및 배달음식의 이물질 혼입, 음식물 섭취 후 부작용, 배달대행서비스 관련 문의 등의 상담이 많았다.


8월 소비자상담은 총 6만2965건으로 전달(7만1613건)보다 12.1%(8648건) 줄었고, 지난해 8월(7만2178건)보다도 12.8%(9213건) 감소했다.


올해 8월 상담 다발 품목은 에어컨이 2006건(3.2%)으로 가장 많아 여름의 계절적 특수성을 보였고 이어서 이동전화서비스(1895건·3.0%), 의류·섬유(1770건·2.8%) 순이었다.



상담 사유별 현황. [출처= 한국소비자원]


에어컨의 경우, 설치 시 과다한 설치비, 출장비 청구, 배송지연, 소음 발생 등에 대한 문의가 주를 이뤘고, 이동전화서비스는 계약 불이행, 결합상품 할인 요건 설명 부실, 계약해지 시 위약금 기준 문의 등이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1만8035건(30.7%)으로 가장 많이 상담했고, 그 다음은 40대(1만5930건·27.1%), 50대(1만845건·18.4%) 순이었다.


상담사유로는 품질·A/S가 1만9367건(30.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계약해제·위약금(1만2389건·19.7%), 계약불이행(8982건·14.3%)이 뒤를 이었다.


판매방법별로는 54.3%(3만4159건)을 차지한 일반판매 이외에도 국내전자상거래(1만5746건· 25.0%), 방문판매(2344건·3.7%), 전화권유판매(1915건·3.0%)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 소비자가 54.4%(3만4235건)로 남성 소비자(2만8730건·45.6%) 대비 8.8%포인트 높았다.



지역별 상담 현황. [출처= 한국소비자원]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만9843건(31.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서울특별시(1만3426건·21.3%), 부산광역시(4047건·6.4%), 인천광역시(3452건·5.5%), 대구광역시(2690건·4.3%)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 당 상담건수를 보면 경기도가 150.4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특별시(137.8건), 대전광역시(126.8건), 부산광역시(118.2건), 인천광역시(116.8건) 순으로 집계됐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