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증시전망대] 하노이 ‘노딜’ 충격, 제한적일 듯

김기영

webmaster@megaeconomy.co.kr | 2019-04-30 15:06:37

우리 증시가 근래 보기 드물 정도의 큰 충격파에 휘청거렸다. 지난달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이 ‘노딜’로 끝난 뒤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회담이 끝난 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보다 39.35포인트(1.76%) 하락했다.


하지만 충격파가 오래 가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어차피 북핵 문제 해결에 있어서 획기적 진전이 이뤄지리란 기대가 없었던데다 북한의 대응도 아직은 격렬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점 등이 그 배경이다.


오히려 증시의 주요 변수로 자리잡은 미·중무역갈등이 숨고르기에 들어간 가운데 여전히 협상에 대한 기대가 살아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당분간일망정 큰 변수 하나가 제거됐다는 것은 그만큼 불확실성이 감소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 양측은 여전히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 모습. [사진 = AP/연합뉴스]

당분간 증시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들의 경기 동향으로 눈길을 돌릴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은 오는 6일(이하 현지시간) 발표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경기동향 보고서 ‘베이지북’의 내용이 시선을 끌 것으로 보인다. 그보다 하루 앞서 발표되는 미국의 2월 서비스업 구매자관리지수 역시 관심권 안에 자리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3일부터 대장정에 들어간 양회로 인해 세계인의 관심을 모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이 행사를 통해 경제정책 운용방향을 제시하곤 했다. 이번 행사에서 중국은 이전보다 강화된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 그 내용에 따라 우리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현재로선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7일 열리는 유럽중앙은행(ECB)의 통화정책회의도 관심사 중 하나다. 이 회의에서 ECB가 완화적 정책을 내놓을지가 관심의 주된 내용이다.


회의 결과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 ECB가 새로운 장기저리대출 프로그램 등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란 기대가 있는가 하면, 기조 유지를 점치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독일 중앙은행 총재 등은 금리 정상화를 촉구하는 등 경기부양책 채택 움직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CB가 완화적 정책을 내놓는다면 투자자들의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이번 주 코스피의 예상 등락범위로 2180∼2260(NH투자증권), 2200∼2250(하나금융투자), 2140∼2250(케이프투자증권) 등을 제시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