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이슈] 작년 對美 무역흑자 23% 급감… 한·미FTA 이후 최저
강한결
webmaster@megaeconomy.co.kr | 2019-03-14 16:49:28
[메가경제 강한결 기자] 지난해 미국과의 교역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대미(對美) 무역수지 흑자는 138억 달러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가장 적었다.
대미 무역 흑자는 2015년에 258억 달러로 최고점을 찍은 후 3년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한·미 FTA 발효 7년차 교역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상품분야 대미 무역수지 흑자규모는 전년 대비 22.9% 감소한 138억 달러에 그쳤다.
한미 FTA 발효 첫해인 2012년에 기록한 152억 달러 흑자보다 더 낮아진 역대 최저치이다. 대미 무역수지는 2013년 206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첫 200억달러 흑자 시대를 연 후 2014년(250억 달러), 2015년(258억 달러), 2016년(233억 달러)까지 그 기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2017년 무역수지 흑자는 179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2% 감소했다. 지난해 역시 비슷한 수준이었다.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가면서 정점 대비 반토막이 됐다.
무역흑자 급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지속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자동차 수출을 무역불균형의 대표 사례로 지목했다. 지난해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6.9% 감소했다. 자동차와 함께 3대 대미 수출 효자 상품인 무선통신기기 수출도 6.2% 줄었고 컴퓨터(-0.6%), 고무제품(-2.2%) 역시 부진을 면치 못했다.
에너지 수입 증가도 대미 흑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한국 상대 무역적자를 문제 삼은 트럼프 행정부를 달래기 위해 2017년부터 가스 등 미국산 원자재 수입 확대를 추진해왔다. 에너지 수입량이 증가한 가운데 유가 등 국제 에너지 가격까지 오르면서 에너지 수입액이 급증했다.
만성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서비스 수지는 163억 달러 적자로 전년보다 23억 달러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는 운수, 여행, 통신서비스, 보험서비스, 특허권 등 사용료, 사업서비스, 정부서비스, 보험서비스, 기타서비스 등 8개 항목을 포함하며 상품수지·소득수지와 함께 경상수지를 구성하고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