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분석] 현대 경유차 7만여대 리콜, 왜?
김기영
webmaster@megaeconomy.co.kr | 2019-01-08 18:35:07
[메가경제 김기영 기자] 환경부가 8일 현대자동차가 생산한 경유차들에 대해 대대적인 리콜 조치를 취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리콜 대상 차량 대수가 무려 7만8721대나 된다. 이중엔 현대차가 자발적으로 리콜 조치에 나서기로 한 차량들도 일부 포함돼 있다. 이처럼 대대적 리콜이 취해지게 된 이유가 뭘까?
경유차는 한때 친환경차라는 인식으로 인해 정부에 의해 적극 권장됐던 차량이다. 하지만 그 같은 인식은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시험을 거쳐 바뀌기 시작했다. 그 결과 오늘날 경유차는 석탄화력발전소와 함께 대기오염의 양대 주범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경유차 중에서도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이 노후화된 차량이다. 경유차는 가솔린 차량에 비해 오래 사용할수록 오염물질 발생량을 더 빠르게 증대시키기 때문이다.
여기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경유차는 우선 다른 유종을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에 비해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부품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부품의 기능도 상대적으로 더 복잡다기하다. 그로 인해 배기가스 저감장치의 내구성이 다른 차량들에 비해 훨씬 약하다. 노후 경유차량이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번에 리콜 대상이 된 현대 경유차는 그랜저 2.2디젤, 메가트럭(와이드캡), 마이티 등 3개 차종이다. 이들 차량의 배출가스 부품 결함을 시정하라는 게 환경부의 요구 내용이다.
리콜 대상 중 그랜저 2.2디젤은 배출가스재순환(EGR) 기능이 원활하지 않아 질소산화물 배출이 심해지는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EGR은 디젤차량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배출가스의 일부를 냉각시킨 뒤 공기와 함께 연소실로 되돌리는 기능을 말한다. 이 기능을 통해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다른 종류의 차량들은 질소산화물촉매 장치나 매연포집필터가 균열 등으로 인해 효율 저하를 일으킴에 따라 리콜 대상에 포함됐다.
현대차는 문제의 차량들에 대해 소프트웨어를 개선하거나 문제의 부품을 개선하는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문제의 차량 소유자들에게 리콜 사실을 통지하고 9일부터 개선 작업에 돌입한다. 해당 차량 소유자들은 전국의 현대자동차 서비스센터나 블루핸즈에서 무상으로 차량 결함에 대한 시정 조치를 받을 수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