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생활물가, 명(名)과 실(實)이 다르니 문제
장찬걸
webmaster@megaeconomy.co.kr | 2017-02-26 18:36:44
[메가경제 장찬걸 기자] 1월 생활물가가 소비자의 느낌과는 달리 2.4%의 성장률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생활물가 추가상승 가능성 점검' 결과에 따른 수치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의 생활물가 상승률은 1.2%였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또 당분간 생활물가가 크게 오르는 일은 없을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한은은 국제유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봄철이 다가오면서 채소류의 출하량이 늘어나고 있고, 조류독감이 소강상태를 보임으로써 계란 값도 점차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는 점 등을 그같은 전망의 근거로 제시했다.
1월 생활물가와 당분간의 물가를 넘어 올 한해의 생활물가 역시 그리 높지 않을 것이라는게 한은의 전망이다. 한은은 그 근거로 미국의 셰일가스 증산에 따른 국제유가의 안정세 지속, 원달러 환율의 하락 전망 등을 꼽았다. 한은은 유가의 안정세 외에 원달러 환율 하락이 물가 상승 압력을 일정 부분 상쇄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1월 생활물가 오름세를 주도한 요인은 공급 쪽에 몰려 있었다.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농축수산물 가격이 크게 오른게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품목별 1월 생활물가 인상 기여도는 농축수산물이 1.1%포인트나 됐고, 석유류도 0.6%포인트에 이르렀다.
조류독감 파동으로 달걀 역시 1월 생활물가에서 0.3%포인트의 인상 요인으로 작용했다. 조류독감 의심신고 건수는 지난해 12월 6.9건이었던 것이 올해 1월엔 0.7건으로 크게 줄었다. 그 덕분에 계란값이 눈에 띄게 하락했다.
그러나 한은은 구제역이 확산될 경우 소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하면서 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구제역 변수가 올해 생활물가를 움직이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될 것이란 의미다.
한은 관계자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2% 가까운 정도를 유지하다가 연간 집계로는 1.8% 정도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