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 월평균소득, 씀씀이도 많다는데

조승연

webmaster@megaeconomy.co.kr | 2015-11-29 18:17:50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맞벌이 월평균소득은 외벌이소득에 비해 얼마나 더 많을까? 과연 두 배 정도로 볼 수 있을까? 이에 대해 많은 맞벌이 부부들은 둘이서 사회 활동을 하느라 의류비 식비 교통비 등 나가는 것도 많아 '결국 거기가 거기'라는 말을 하곤 한다. 반면 외벌이 당사자들은 맞벌이 부부들의 그같은 주장을 '엄살'로 치부하려는 경향이 있다.


외벌이 당사자들의 맞벌이 부부에 대한 선망을 잘 보여주는 사례중 하나가 부부 교사에 대한 호칭이다. 일부 외벌이 당사자들은 교사 부부를 '걸어다니는 준재벌'이라 부르곤 한다.


이는 맞벌이 부부 조합으로 최고의 직업이 교사라는 인식으로 인해 탄생한 농담이라 할 수 있다. 맞벌이 월평균소득 면에서 부부 교사만한 조합도 드물다는게 그같은 인식의 배경이다.


'걸어다니는 준재벌' 이야기는 교사의 봉급 수준이 이전에 비해 많이 개선됐고, 은퇴후 후 연금이 쏠쏠하다보니 나온 말이기도 하다. 사학연금을 기준으로 볼때 실제로 학교장을 역임한 뒤 은퇴한 교사의 경우 월수령 연금만 해도 혼자서 3백만원을 훌쩍 넘는게 보통이다.


평소 두 사람이 벌고 은퇴 후 노후 보장이 잘 돼 있다 보니 맞벌이 교사들은 재직중 씀씀이에서 한결 여유를 갖는게 사실이다. 교사들의 맞벌이 월평균소득이 높다보니 이들이 외제차를 보유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아졌다.


그렇다면 실제로 맞벌이 월평균소득은 얼마나 될까? 29일 현대경제연구원이 그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었다. 연구원이 밝힌 바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가구의 맞벌이 월평균소득은 532만6천원이었다. 외벌이 월평균소득 380만원의 1.4배 규모다.


이 수치는 그동안 들어온 맞벌이 부부들의 '엄살'이 단순한 '엄살'만은 아니었음을 어느 정도 짐작하게 해주었다. 그러나 이번에 발표된 맞벌이 월평균 소득이 정규직 부부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보면 부부 교사를 '걸어다니는 준재벌'로 보는 시각은 여전히 유효하다 할 수 있다.


이는 맞벌이 가구 중 가구주와 배우자의 소득을 살펴보면 어느 정도 이해될 수 있다. 연구원 분석 결과 맞벌이 월평균소득은 532만6천원이었지만 가구주의 월평균 소득(319만6천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정규직 가구주와 비정규직 배우자의 맞벌이 조합이 그만큼 많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맞벌이 가구 비율은 41.7%였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