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국내발생 일일 평균 2133.6명 확진 "24.3% 증가"...위중증환자 8.8% 증가

지난주 위중증 365명...직전주보다 32명 증가
감염재생산지수 1.20 “2주 연속 ‘1’ 넘어”
총 사망자수 126명, 전주보다 48.2% 증가
가동률, 감염병전담 60%, 중환자전담 54%

류수근 기자

press@megaeconomy.co.kr | 2021-11-08 19:25:45

지난 한 주 국내 발생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직전 주에 비해 2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자 수 증가에 따라 지난주 위중증환자도 그 전 주간에 비해 8.8% 늘었다.

8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한 주(10.31~11.6)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1만4935명으로, 하루 평균 2133.6명으로 집계됐다. 그 전 주간(10.24~10.30)의 1716.2명에 비해 417.4명(24.3%)이 증가했다.

 

 

▲ 최근 방역 관리 상황 비교. [보건복지부 제공]

 

일일 평균 60세 이상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630.9명으로 30% 가까이 차지했고, 직전주의 420.6명과 비교해 50%나 늘어났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시작과 함께 대면 접촉과 이동량이 늘어난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지난주 수도권 일일 발생 환자는 1686.9명으로 전체 국내 발생자의 80%에 육박했으며, 그 전 주간(1342.1명)보다 25.7%인 344.8명이 증가하며 최근 확산세를 주도했다.


▲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 [보건복지부 제공]
비수도권 환자는 446.7명으로, 직전 주간(374.1명)에 비해 72.6명(19.4%) 늘어났다. 비수도권 중에서는 경남권(28.7명)과 충청권(24.6명)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이렇다 보니 국내발생 확진자의 감염재생산지수는 1.20으로, 직전주(1.06)에 이어 2주 연속 ‘1’ 이상의 값을 유지하며 확산 우려를 더 키웠다.

감염재생산지수란 감염자 한 명이 평균적으로 감염시킬 수 있는 2차 감염자수를 나타낸다. 지수가 1보다 크면 최소 1명 이상 추가적으로 감염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확진자수의 증가세는 위중증 환자 수와 사망자 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한 주 하루 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365명으로, 그 전 주간의 333명에 비해 32명 증가했다. 특히 60대 이상이 위중증 환자 증가의 가장 많은 비중(79.2%)을 차지했다.

지난 한 주 총 사망자 수는 126명(인과성은 미입증)으로 하루 평균 18명꼴이었다. 최근 5주간 사망자 총 452명 중 예방접종 미완료자가 71.9%인 325명에 달해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수치로 보여줬다.

국내발생 확진자는 증가 추세지만 의료대응체계는 현재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고 중대본은 밝혔다.

치료병상 현황을 보면, 7일 기준으로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총 1121병상을 확보하고 있다. 가동률은 전국 54.4%로 51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며 수도권 229병상이 남아 있다.

▲ 중증도별 병상 현황. [보건복지부 제공]
준·중환자병상은 총 455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62.2%로 172병상의 여력이 있다. 수도권은 68병상이 남아 있다.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1만56병상을 확보 중이며, 가동률은 전국 60.2%를 기록중이다. 이용 가능한 병상은 4007개다. 수도권은 1006병상이 남아 있다.

생활치료센터는 8일 기준으로 총 87개소 1만7951병상이 준비돼 있다. 가동률은 전국 50.1%로 895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만2031병상이 확보돼 있으며, 가동률은 60.6%로 이용 가능한 병상은 4741개다.

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는 493명이었다. 이중 수도권은 서울 277명, 경기 176명, 인천 18명 등 471명이었고, 비수도권은 부산 1명, 대구 2명, 강원 6명, 충북 1명, 충남 9명, 경북 3명 등 22명이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