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글로벌 AI 경쟁력 평가서 3위...에이닷의 미래는?

옴디아, 주요 통신사 12곳 대상 10개 부문 평가
4개부문 1위 ‘AI 역량 및 적용’에서 SKT 최고점

이동훈

ldh@megaeconomy.co.kr | 2024-04-22 17:12:25

[메가경제=이동훈 기자] SK텔레콤이 글로벌 AI 경쟁력 평가서 3위를 차지하며 에이닷의 미래를 밝히고 있다. 일찍이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밝힌 글로벌 AI 주도론이 현실화될 조짐이다.


최근 영국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는 세계 주요 통신사 12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공지능(AI) 지표 조사를 실시했다. 대상은 AT&T, 도이치텔레콤, NTT도코모, 차이나 모바일, e&, 보다폰, 오렌지, 텔레포니카, MTN, 악시아타, 릴라이언스 지오 등 각국 및 대륙을 대표하는 통신사들이다. 한국 통신사로는 SKT가 유일하게 포함됐다. 

▲ 옴디아가 발표한 AI 지표에서 12개 글로벌 통신사 중 1위를 차지한 SK텔레콤
그 결과 SKT, 전체 10개 부문 중 4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SKT는 ‘고객 디지털 서비스’, ‘R&D(연구개발)’, ‘테크기업 비전’ 등 총 4개 분야에서 1위(공동 포함)에 올랐다. 단 10개 부문을 모두 포괄한 총점에서는 28.5점(만점 40점)으로 12개 사 가운데 3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차이나 모바일이 31점으로 1위, NTT 도코모(30점)가 2위였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매튜 리드(Reed) 옴디아 수석 애널리스트는 “SKT가 AI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차별화된 비전을 제시하고 실행하고 있다”며 이례적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보고서는 SKT의 ‘AI 피라미드’ 전략에 주목했다. SKT는 지난해 9월 AI 인프라, AI 트랜스포메이션, AI 서비스 등 세 영역에서의 AI 혁신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피라미드 최상단인 AI 서비스는 AI 개인비서 ‘에이닷’으로 대표된다. 보고서는 또한 “SKT는 도이치텔레콤, e&, 싱텔, 소프트뱅크 등과 함께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TAA)를 만들어 협력하고 있다”며 “통신사 특화 LLM 개발을 위해 앤트로픽, 오픈AI 등 AI 전문 기업과도 힘을 합쳤다”며 SKT가 주도하는 AI글로벌 생태계에 대해 긍정적인 시그널을 보냈다.
▲ 유영상 SKT 사장이 AI피라미드 전략론을 설명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연합뉴스]
이는 유영상 SKT 사장이 밝힌 AI인프라·AIX·AI서비스 3대 영역이 중심인 ‘AI 피라미드’ 전략을 기반으로 SK텔레콤은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란 비전과 일맥상통한다.

그렇다면 SKT가 개발하는 AI의 방향성과 미래는 무엇일까?

SKT가 주창하는 ‘AI 피라미드’ 전략의 바탕에는 AI에 대한 신뢰성 보장이 깔려있다. SKT는 안전장치 없는 AI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투명하며 안정성 있는 AI를 개발을 주창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