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쇼핑협회, 새벽배송 금지 추진... 소비자 불편·국민후생 악화 우려
주영래 기자
leon77j@naver.com | 2025-11-04 16:57:15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새벽배송 금지’ 논의에 대해 한국온라인쇼핑협회가 “소비자 생활 불편과 농어업인·소상공인 피해, 일자리 감소 등 심각한 사회·경제적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협회는 4일 입장문을 통해 “새벽배송은 맞벌이 부부, 1인 가구, 영유아 가정 등 다양한 계층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잡은 생활필수 서비스”라며 “이를 제한하면 소비자 편익이 급격히 저하되고 국민 후생이 악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2024 소비자시장평가지표’에서 새벽배송은 71.8점을 기록, 40개 주요 서비스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협회는 “야간 주문 후 아침 수령이라는 새벽배송의 핵심 효용이 사라지면 국민 생활 전반의 편익이 후퇴하게 된다”며 “농촌 및 도서산간 지역에서는 새벽배송이 식품 사막화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새벽배송 중단은 농어업인과 중소상공인의 경제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협회는 “신선식품·공산품의 주요 판로인 새벽배송이 막히면 농어업인은 판매 기회 상실과 물류비 증가로, 중소상공인은 판매처 축소와 가격 결정권 약화로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이는 지역경제와 내수시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택배·물류 종사자 일자리 감소 문제도 거론됐다. 협회는 “야간근무는 강요가 아니라 근로자의 자율적 선택에 기반한 근무형태”라며 “실제 새벽배송 기사들은 교통 혼잡이 적고(36.7%), 수입이 높으며(32.9%), 낮 시간대 활용이 가능하다(20.7%)는 이유로 야간근무를 선호하고 있다”고 전했다.
나아가 협회는 새벽배송 중단이 국가 물류체계 전반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새벽배송은 AI 수요예측, 콜드체인 등 첨단 물류혁신의 대표적 모델”이라며 “이를 중단하면 라스트마일 물류 경쟁력이 약화되고 산업 전반의 비효율이 확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협회 관계자는 “야간근로는 물류뿐 아니라 보안, 철강, 조선, 운송 등 다양한 산업의 운영을 뒷받침하는 필수 요소”라며 “새벽배송의 일괄적 제한은 국가경제의 근간을 흔드는 조치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