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C, 폴리우레탄 원료 사업 '홀로서기' 추진

미쓰이화학과 합작법인 종료
100% SKC 자회사로 사업 전환

김형규

hgkim@megaeconomy.co.kr | 2021-09-30 16:55:19

SKC가 일본 미쓰이화학과의 합작법인 MCNS 계약 종결에 합의하고 폴리우레탄(PU) 원료 사업의 독자 성장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SKC는 존속법인을 100퍼센트(%) 자회사로 만들어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는 등 사업 경쟁력과 시장 점유율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 [SKC CI]

 

SKC는 29일 이사회를 열고 지난 2015년 미쓰이화학과 설립한 폴리우레탄 원료 사업 합작법인 MCNS 계약 종결을 하기로 결정했다.

일본 미쓰이화학도 같은 날 이사회를 열고 같은 내용을 의결했다. 종결은 늦어도 내년 5월까지 각자 투입 자산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후 존속법인은 SKC의 100% 자회사로 전환한다. 양사는 계약 종결 이후에도 협력 관계를 이어가기로 했다.

양사는 지난 2015년 MCNS 설립 이후 성장시장 진출과 신규사업 글로벌 전개, 수익성 향상을 목표로 협업해왔다.

MCNS는 고객 맞춤형 PU 원료를 생산하는 시스템하우스를 중국·미국·폴란드에서 멕시코·인도·러시아까지 확장했다. 이를 통해 기존 6만 톤 규모 연간 생산량은 11만 톤 수준으로 증가했다. 특히 고부가 PU 원료 판매량은 두 배 이상 늘렸다.

다만 양사의 사업 방향에는 전략적 차이가 있었다. SKC는 글로벌 진출 등 성장을 중시했고 미쓰이화학은 고기능·바이오 제품으로 착실히 수익을 높이는 쪽을 선호했다.

이에 양사는 각 사의 전략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고 계약 종결에 합의했다.

SKC는 계약 종결 이후 존속법인의 글로벌 확장과 친환경 사업 확대에 나선다. 우선 동남아와 중남미, 중동 지역에도 추가 진출해 글로벌 점유율을 높일 계획이다.

친환경 소재 사업도 강화해 폐플라스틱 이슈 해결에 기여할 예정이다. 석유계 원료 대신 피마자유를 사용한 바이오 PU 원료 사업과 폐PU 재활용 리폴리올 사업이 대표적 예다. 오는 2025년까지 매출 1조 원 이상 달성이 목표다.

SKC 관계자는 “SKC는 계약 종결 이후에도 미쓰이화학과 협력을 이어나가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며 “친환경 소재 사업을 강화해 성장과 ESG 경영을 동시에 추구하며 기업가치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PU는 자동차 내장재, 액화천연가스(LNG)와 액화석유가스(LPG) 선박 등의 단열재로 널리 쓰인다. 최근 전기차 보급이 대중화되며 MCNS가 자체 개발한 소음·진동 저감 제품과 저밀도 경량화 제품도 주목받고 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