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독감백신 접종후 사망 59명중 46명 "인과성 매우 낮음"..."접종 중단 고려할 단계 아냐"
피해조사반, 사망자 46명 사인 분석…"백신 접종과 관련성 없는듯"
사망사례 관련 백신은 7개사 37개 제조번호...2건 이상 사망신고는 총 14개
13건은 조사중... 건강상태 좋은날 예방접종·접종후 의료기관서 이상반응여부 관찰
류수근 기자
webmaster@megaeconomy.co.kr | 2020-10-26 16:34:18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질병관리청(질병청)은 26일 전일까지 사망사례로 신고된 총 59건 중 46건에 대해 사망과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아 백신 재검정이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단계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질병청은 전일(25일)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신속대응 회의를 개최해 추가된 사망사례 20건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판단한 결과 인과성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이날 이렇게 밝혔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을 보면, 26일 0시 기준 약 1468만 건이 등록됐으며, 이 중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자의 접종건수는 968만 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전일까지 신고된 사망사례와 관련된 백신은 총 7개 제조회사의 37개 제조번호이며, 이중 동일 제조번호에서 2건 이상의 사망신고가 있는 것은 총 14개였다.
피해조사반은 재검정 또는 봉인(사용중지)에 대해서는 동일 제조번호 접종사례 중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배제할 수 없는 2건 이상의 중증 이상반응(사망 등) 사례가 발생할 경우 검토할 예정으로, 현재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질병청은 추가 20건을 확인한 결과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급성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아나필락시스는 없었고, 20건 모두 동일 의료기관, 동일 날짜, 동일 제조번호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예방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경증이상반응(접종부위 통증 등) 사례 외에 중증이상반응 사례는 없어 백신의 이상이나 접종 과정상의 오류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또한, 개별사례별로 기초조사 및 역학조사 결과, 부검결과 등을 검토한 결과, 지금까지 검토한 46건 사례 모두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아 백신 재검정이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단계는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질병청은 그 이유로 ▲ 사망사례에서 백신의 이상반응으로 추정되는 소견이 없었고, ▲ 심혈관계 질환, 뇌혈관계 질환, 당뇨, 간경화, 부정맥, 만성폐질환, 악성 종양 등 기저질환의 악화로 인한 사망가능성이 높았으며, ▲ 부검 결과 명백한 대동맥 박리, 뇌출혈, 폐동맥 혈전색전증 등 다른 사인이 있었다는 것을 꼽았다. 질병청은 신고된 59건 중 인과성이 낮다고 판단한 46건 외에, 조사 중인 13건을 포함해 추가로 신고 되는 사례들에 대해서는 역학조사가 완료되는 대로 피해조사반 회의를 개최하여 인과성을 판단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 시 유의할 점을 설명했다.
우선“인플루엔자 유행수준은 예년보다 낮고 유행시기가 늦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예방접종을 너무 서두르지 말고 건강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접종 대기 중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예진 시 아픈 증상이 있거나 평소에 앓고 있는 만성질환, 알레르기 병력은 반드시 의료인에게 알리고, 접종 후 반드시 의료기관에서 15~30분간 이상반응 여부를 관찰하며, 접종 당일은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는 등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주의사항을 강조했다.
또,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의 통증, 빨갛게 부어오름, 부종이나 근육통, 발열, 메스꺼움 등 경미한 이상증상은 접종 후에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 1-2일 이내에 호전된다. 그러나 접종 후 호흡곤란, 두드러기, 심한 현기증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라고 안내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