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택배, 주 7일 배송 놓고 노사갈등 고조
노조, 7일 배송 중단·사회보험 적용 확대·적정 수수료 보장 요구
건강권·휴식권 지적에 국민청원까지 번져...타사와 실효성 대비
정호 기자
zhdyxp56@gmail.com | 2025-05-13 17:09:01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진택배가 쿠팡·CJ대한통운과 마찬가지로 주 7일 배송 서비스를 도입했지만 내부 갈등이 날로 첨예해지는 양상이다. 문제는 제도 도입 이후 건강권·휴식권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서부터 촉발됐는데 노조는 소규모 인력으로 주 7일제 배송 소화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전국택배노동조합은 '택배노동자 차별철폐대회'를 개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요구 사항은 주 7일 배송 중단·사회보험 적용 확대·적정 수수료 보장 등이다. 노조 측은 권리 신장을 위해 계속 목소리를 높일 예정이다.
한진택배의 주7일 배송 서비스는 지난달 말부터 수도권과 지방 주요 도시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다. 전국택배노동조합은 앞서 해당 배송사업 시범운영 도입을 반발하며 서울 중구 한진 본사 앞에서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반발이 계속되자 한진택배 측은 거부하는 기사들에게 수수료를 감액하겠다는 내용 증명을 보내기도 했다. 일부 운수업 종사자는 계약 해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택배노조 관계자는 "택배업계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주 7일제를 도입했지만 운수 종사자들의 사정을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제도를 도입했다"며 "건강권과 휴식권을 보장 받기 위해 계속 회사와 접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현직 종사자들의 불만이 거세다. 택배업 종사자들은 "한진택배 기사들은 회사에 대해 감정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안다", "어차피 지금 발버둥 해봤자, 쿠팡 따라잡기 늦었다", "효율성만 제로이기에 불편만 따른다" 등 의견을 내기도 했다.
특히 실효성 부분에서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노조와 대리점협회에서 상생협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택배 노조에 따르면 한진택배 측은 이런 대안 없이 계약 해지·용차비 전가 등으로 운수업 종사자들을 압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불만은 국민청원으로 이어지며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국회전자청원 '택배기사들의 휴식권 보장 및 과로사 방지 대책 촉구에 관한 청원'에는 5만명이 찬성하기도 했다. 국민청원으로 요구된 사안은 주 6일 근무제 유지 및 최소 주 1~2일 휴식 보장, 추가 인력 충원 및 합리적인 근무 분담을 비롯한 제도 완화다.
한편, '메가경제'는 불공정한 수수료 차감 등 불이익과 주 7일제 도입 이전 충분한 노사 합의에 대해 질문했지만 '한진택배' 측의 답변을 받지 못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