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상·사조해표·샘표·진미·신송 '고추장', 중국산 고춧가루 투성이 빈축

고춧가루 함량 10% 미만 원산지도 중국산 고추장 태반
제조업체 국내산 고춧가루 사용하고 함량 끌어 올려야

주영래 기자

leon77j@naver.com | 2023-08-22 15:28:29

[메가경제=주영래기자] 국내 유명 식품회사들이 생산한 고추장 제품에 고춧가루 함유량이 10%도 안 되는 제품이 허다해 소비자들을 기만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왔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국내 대표 식품회사인 CJ, 대상, 사조해표 등이 출시한 고추장은 중국산 고춧가루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이 단체는 고추장 생산 시 고춧가루 함량을 15% 이상으로 높이고 중국산 대신 국내산 고춧가루를 사용해 소비자들의 건강한 식문화에 앞장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내 유명 식품사들이 제조한 고추장에 고춧가루 함량은 적고, 중국산 고추가루를 사용해 소비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1년 전 고추장 내 고춧가루 함량 비율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한 이후 개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고추장을 판매하는 CJ, 대상, 사조 해표, 샘표 등의 제품별 고춧가루 함량 비율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개선된 제조사는 없었으며 오히려 고추 양념과 혼합양념 분말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추 양념을 제외한 고춧가루 역시 중국산을 사용하는 곳이 대부분이었으며, 고추 양념과 혼합 양념 분말만 들어간 고추장도 있었다.

일반적인 전통 고추장들은 높은 함량의 고춧가루가 들어간다. 여기에 증자된 쌀, 메줏가루, 소금, 물 등의 재료를 적절히 섞어 일정 기간의 숙성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하지만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들 대부분은 고추 양념 속 고춧가루 이외에 고춧가루를 아예 첨가하지 않거나 소량만 넣어서 만들다 보니 전통 고추장 대비 고춧가루 함량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맛이나 질이 떨어진다.


▲고추가루가 전혀 첨가되지 않은 고추장도 있다. [표=소비자주권시민회의]
고추 양념과 혼합양념 분말로만 제조된 고추장을 살펴보면, CJ(맛있게 매운 태양초 고추장, 맛있게 매운 태양초 참 좋은 고추장, 이츠웰 태양초 고추장), 사조해표(순창궁 발효 숙성태양초 골드 고추장, 순창궁 태양초 고추장, 옹가네 태양초 맛고추장)등이 있다. 

 

고추 양념과 혼합 양념분을 이용했음에도 고춧가루 함량을 10% 넘기는 제품을 찾아볼 수 없으며 고추 양념 역시 중국산을 사용하고 있다.

고춧가루가 첨가되지 않은 고추장 역시 많았다. 대상, CJ, 사조해표, 샘표, 진미식품, 신송식품에서 판매 중인 제품들 중 총 15개의 제품(조사 제품 기준)이 고춧가루가 첨가되지 않았다.
 

또 고추 양념과 혼합양념 분말로만 제조된 고추장과 마찬가지로 국산 고추 양념을 사용하는 경우를 찾기 힘들고, 샘표의 '참진한 고추장', '소문난 맛집 고추장'과 CJ의 '찹쌀 태양초 고추장'을 제외하면 고춧가루 함량의 합계가 10%를 넘기는 제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대량으로 유통되는 업소용 고추장 내 고춧가루 함량이 너무 적다는 것이다. 업소용 고추장들은 대량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학교 급식, 식당 등에 유통되지만 고춧가루 함량이 10%가 넘는 제품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최근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성분함량이나 원산지를 확인하는 소비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업소에 판매되는 고추장들의 경우 소비자들이 정확한 성분함량이나 원산지를 확인하기 어려워 소비자들은 선택권을 보장 받지 못한 채 고춧가루 함량이 적더라도 섭취할 수 밖에 없다.

고추장은 소비자들의 식생활에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식자재다. 하지만 과도한 고추 양념, 중국산 고춧가루, 혼합양념 분말 등의 사용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건강한 식생활이 위협받고 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제조사들은 지금껏 소비자들이 보내온 신뢰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고추장 내 고추 양념과 혼합양념 분말의 사용을 줄이고 중국산 고춧가루가 아닌 국산 고춧가루를 사용하는 등 소비자들과의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한다"며 "정부 역시 고추장 내 고추가루 함량 비율을 최소 15% 이상으로 지정하는 등 규제 마련에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