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6화] 융프라우요흐(Jungfraujoch)역

스위스 ‘융프라우요흐’는 ‘처녀 어깨’라는 뜻 … 유럽 가장 높은 역
최초 산악 철도는 아트 골다우역~피츠나우역 간 리기산 톱니바퀴

편집국

mjwriter@daum.net | 2024-11-28 15:33:38

[메가경제=편집국] ] ‘융프라우요흐’는 ‘처녀 어깨’라는 뜻을 가진 이름의 역으로 스위스 알프스의 해발 3454m인 융프라우 봉오리에 1912년 개설되었다.

 

지난 2007년 중국 칭짱 철도가 개통되기 전까지 거의 100여 년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역이었으나 지금은 유럽에서 가장 높은 역이다.

 

▲융프라우요흐역
알프스는 스위스 면적(4,2285㎢)의 60%를 차지하는 산으로, 해발 4158m의 주요 고봉 중 하나인 융프라우는 부유한 상인의 아들인 요한 루돌프 마이어 형제가 1811년 8월3일 최초로 정상에 도달했던 봉우리로 1860년대부터 산악 철도부설의 꿈이 시작된 곳이다.

▲스위스 최초 산악열차 (리기산 초창기 증기기관차 LOK7)
스위스 최초의 산악 철도는 1871년 5월 21일 개통된 아트 골다우역~피츠나우역 간 리기산 톱니바퀴 철도였으며, 알프스 산악 철도는 1893년 개통된 궤간 800㎜의 라우터부르낸~클라이네샤이데크~그린델빌트 간 19㎞의 벵에른알프(Wengernalp) 톱니바퀴 철도가 시작이었다.

▲아돌프가이어첼러 동상


융프라우 철도는 아돌프 가이어 젤러(Adolf G. Zeller)가 1893년 계획을 세우고 1894년 철도회사(UeBB)를 설립하여 7년 내 완공을 목표로 1896년 터널부터 건설하며, 혹독한 자연조건과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겪었다. 

 

1898년 클라이네샤이데크~아이거글렛쳐 간 개통 후, 1899년 2월 폭발 사고로 6명의 희생자가 발생하였으며, 같은 해 4월에는 가이어 젤러 본인도 사망하였다.


▲융프라우철도 노선

 

그 후 아들이 대를 이어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 1905년 아이스메어까지 개통한 후 1912년 2월 아이거글렛쳐~아이스메어~융프라우요흐 간 개통으로 클라이네샤이데크~융프라우요흐 간 9.34㎞의 산악 철도 부설공사를 완공한 후 스위스 독립기념일(8.01일)부터 철도 운행이 시작되었다.

 

▲사진 좌측부터 클라이네샤이데크역 ,아이거글렛쳐역, 아이스메어역, 융프라우요흐역

 

융프라우 철도는 궤간 1,000㎜의 협궤철도로 전 구간의 75%(7㎞)가 터널이며, 레일 중간과 차량에 톱니바퀴가 설치되었다.

 

▲톱니 레일과 톱니 차륜

 

최대 경사 25%, 영업 최고 속도는 12.5㎞/h로 클라이네샤이데크역에서 융프라우요흐역까지 상행 열차는 50분, 하행열차는 35분이 소요된다.

 

▲ 톱니바퀴 철도

 

1934년 빙하 30m 아래를 곡괭이와 톱질로 얼음동굴을 만들어 바닥과 벽 및 천정이 모두 얼음으로 된 1,000㎡의 얼음 궁전을 만들어 융프라우요흐역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얼음궁전

 

많은 관광객의 체온으로 얼음이 계속 녹기 때문에 깍고 다듬는 작업을 계속하여 유지하고 있다.

 

▲스핑크스전망대


1937년 개장한 후 1950년 돔을 설치한 스핑크스전망대는 관광객의 인기를 끌고 있으며, 지질학, 천문학 등 학문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이상적이어서 1931년 개소한 이곳 연구소에 크게 도움이 되고 있다.


▲묀히요흐산장

 

1987년 융프라우요흐역 1.7㎞ 거리에 산장이 개장되어 숙박 또는 식사도 가능하여 방문객에게 크게 도움이 되고 있으며, 1997년 연간 방문객 수가 처음으로 50만 명을 넘어선 후 2000년 6월 1일 하루 방문객 수가 8148명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하였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