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 '신상품 억지 밀어내기'논란에 가맹점주 '허리 휘청'

CU 가맹점주협회 "팔리지 않는 신상품 밀어내기 중단하라"
CU, '상생 신상제도'통해 "매출 증가 등 가시적 성과 있다"

주영래 기자

leon77j@naver.com | 2023-11-30 14:58:45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편의점 CU 운영사인 BGF리테일이 가맹점주들에게 신상품을 억지로 발주시키게 하고 있다는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전날 한국편의점주협의회는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BGF리테일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BGF리테일이 가맹점주들과 '상생'과 먼 독단적 운영방식에 나서고 있다며 이를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CU가맹점주협의회가 강남구 BGF리테일 본사 앞에서 상생촉구 결의대회를 진행 하고있다[사진=점주협회]
협의회는 BGF리테일이 지난 2018년부터 가맹점주들에게 전기요금을 지원하는 '상생 신상제도'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지만, 지난해부터 관련 제도를 개편했다고 설명했다.

개편 내용의 핵심은 전기요금 지원을 없애고 신상품 발주량과 반품, 폐기량에 따라 폐기비용의 차등 지원이다.

구체적으로 매달 신상품 도입률에 따라 신상품 발주 지원금을 월 최대 15만원, 저회전 철수 지원금을 연 최대 20만원, 폐기지원금을 월 최대 50만원 지원한다. 여기에 운영력 우수 인센티브, 기타 점포 시설 유지보수비·보험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협의회는 이러한 지원제도가 상생과 거리가 먼 본사의 '가맹점 쥐어짜기'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전기요금 지원이 사라지면서 가맹점주들은 '상생 신상제도'의 지원금을 더 받아야 하지만, 이는 지원금 조건을 맞추기 위해 신상품 발주율을 80%까지 높여야 하는 상황으로 몰고 간다는 것이다.

지원금 때문에 인기 없는 신상품까지 발주하고, 이는 다시 반품 비용의 증가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협의회 측은 "BGF리테일은 상생 신상품을 월간 평균 156개, 월간 최고 239개를 지정해 이 중 80% 이상 발주를 유도하고 있다"며 "발주 상품 대부분은 판매로 이어지지 않고 있으며, 판매가 불가능한 상품까지 포함돼 가맹점주들의 비용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BGF리테일은 상생 신상제도에 대한 가맹점주들의 이러한 지적을 두고 기존 신상품 발주 지원금의 최대치인 80%를 70%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상품 발주 비율을 낮춰 가맹점주들의 부담을 낮추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협의회는 신상품 발주 비율이 낮을뿐더러, 전체 신상품 갯수 제한이 뒤따르지 않는 이상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되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협의회는 BGF리테일의 반품 지원비용 인상도 요구했다. BGF리테일이 가맹점주들에게 지원하고 있는 반품비용은 매달 6만원을 기본으로 발주원가의 0.3%다. 이는 10년 전에 설정한 기준이라 그동안 상품 원가 상승을 전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상향 조건으로 지원금 11만원에 발주원가 0.5% 수준을 요구했지만, BGF리테일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협의회 측은 "BGF리테일은 가맹점 상권에 맞는 신상품을 발주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저급한 외국상품 등을 상생 신상품에서 제외해야 한다”며 “반품 최고액 지원 기준 비율은 80%를 60%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BGF리테일 관계자는 "가맹계약과 별도로 단순 비용 지원 방식이 아닌 가맹점의 실질적 수익성 향상을 돕는 상생안을 운영한 결과 관련 상품 매출이 증가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다"라며 "내년 상생안이 확정되면 개별 가맹점에 충분한 안내 및 동의를 얻어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