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전자, 'AWE2025' 참가... AI홈 앞세워 중국 안방 공략

아시아 최대 가전 전시회 상하이 개막
양사, AI홈·현지 고객 맞춤형 제품 소개

신승민 기자

shin-sundae@megaeconomy.co.kr | 2025-03-20 15:23:03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20일부터 23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중국 최대 가전 전시회 ‘AWE(Appliance & Electronics World Expo) 2025’에 나란히 참가해 중국시장 공략에 나선다. 

 

최근 무서운 속도로 성장 중인 중국 가전 업체들의 본거지에서 열리는 행사인 만큼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어떻게 현지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지 주목된다.

 

▲ AWE 2025 삼성전자 부스 [사진=삼성전자]

 

20일 가전업계와 메가경제의 취재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현지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제품들과 AI홈 기술 경쟁력 내세워 전시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약 1512㎡ 규모의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 비전을 바탕으로 다양한 비스포크 AI 가전을 선보인다. 삼성전자의 AI 가전은 보안 솔루션 ‘녹스’, 기기 연결을 돕는 ‘스마트싱스’, 음성비서 ‘빅스비’를 기반으로 한다.

 

이번 전시에서 주목할 만한 제품은 9형 스크린이 탑재된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와 7형 스크린이 적용된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 등으로, AI 기능을 강화해 사용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중국의 평균적인 주방 가구장 크기에 맞추면서도 용량을 501L로 최대화한 ‘키친핏 맥스’ 냉장고와 좁은 공간에서도 12kg 용량을 제공하는 ‘비스포크 세탁기’ 등 현지 맞춤형 제품도 선보였다.

 

이외에도 강력한 바람과 스팀으로 의류를 빠르게 탈취·살균하는 '비스포크 에어드레서', 바닥 청소와 물걸레 청소를 알아서 해주는 '비스포크 AI 스팀'도 전시됐다.

 

황태환 삼성전자 DA사업부 부사장은 “다양한 AI 기능과 스크린을 탑재한 비스포크 AI 가전이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AI 홈 경험을 글로벌 시장으로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AWE 2025 LG전자 부스 [사진=LG전자]
LG전자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위한 공감지능’을 주제로 1,104㎡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하고 AI 홈 솔루션을 선보인다. 아시아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맞춤형 AI 가전과 IoT 기술을 소개하며, 핵심 부품 기술력에 AI를 더한 ‘AI 코어테크’도 소개한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공감지능 기반의 AI 홈을 구현했다. 입구의 하이라이트 존에서는 AI 홈 허브 ‘LG 씽큐 온’이 고객의 말과 행동을 인식해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는 모습을 시연한다.

 

모터·컴프레서 등 핵심 부품 기술력에 AI를 적용해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AI 코어테크 기술도 별도 공간에서 전시된다. 관람객은 AI가 세탁 강도를 자동 조절하는 세탁기, 공간을 분석해 최적 온도를 맞춰주는 에어컨, AI가 사용패턴을 파악해 식재료를 신선하게 보관하는 냉장고 등 다양한 AI 가전을 체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온디바이스 및 클라우드형 AI를 결합한 ‘멀티 AI’ 기능과 인텔의 차세대 프로세서를 탑재한 AI PC ‘그램’도 볼 수 있다. 저탄소 시대 흐름을 반영한 고효율 프리미엄 제품과 이를 활용한 공간별 솔루션도 마련했으며, 4인가족, 신혼부부, 1인 가구 등 다양한 주거 형태에 맞는 가전을 솔루션도 제안한다. 

 

류재철 LG전자 HS사업본부장은 “아시아 고객들에게 혁신적인 기술력을 알리고 글로벌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로서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AWE는 독일의 IFA, 미국의 CES와 함께 세계 3대 가전·전자 전시회로 꼽히는 행사로,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글로벌 가전 트렌드를 반영한다. 지난해 기준 전 세계 10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했으며, 36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다녀갔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은 단일 국가 기준으로 미국과 함께 세계 최대 시장인 점이 특징”이라며 “이번 AWE는 딥시크 열풍의 흐름을 반영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할 것 없이 AI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