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아일랜드 신규 데이터센터에 연료전지 공급 추진

장준형

jjh@megaeconomy.co.kr | 2023-11-06 14:11:16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SK에코플랜트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센터 허브로 꼽히는 아일랜드에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센터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공급을 추진한다.

 

SK에코플랜트는 2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 본사에서 아일랜드 럼클룬에너지(Lumcloon Energy)와 신규 데이터센터 연료전지 공급을 위한 양사 협력 및 태양광, 수소, ESS(Energy Storage System)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협력을 골자로 하는 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2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 SK에코플랜트 본사에서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뒷줄 왼쪽)과 사이먼 코브니(Simon Coveney) 아일랜드 기업통상고용부 장관(뒷줄 중앙), 리오 클란시(Leo Clancy) 아일랜드 기업진흥청장(뒷줄 오른쪽)이 배석한 가운데 열린 MOU 체결행사에서 이왕재 SK에코플랜트 에코에너지BU 대표(앞줄 왼쪽)와 나이젤 림스(Nigel Reams) 럼클룬에너지 대표(앞줄 오른쪽)가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에코플랜트]
사이먼 코브니(Simon Coveney) 아일랜드 기업통상고용부 장관이 배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체결식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과 이왕재 SK에코플랜트 에코에너지 BU 대표, 나이젤 림스(Nigel Reams) 럼클룬에너지 대표를 비롯한 양 사 관계자들과 리오 클란시(Leo Clancy) 기업진흥청장 등 아일랜드 정부 및 산업계 주요 인사도 함께 자리해 의미를 더했다.

이번 협약으로 SK에코플랜트는 아일랜드 발전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전문 디벨로퍼인 럼클룬에너지와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에서 서쪽으로 약 80km 떨어진 캐슬로스트(Castlelost) 지역에 조성되는 데이터센터 전력공급원으로 연료전지를 도입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

사이먼 코브니 아일랜드 기업통상고용부 장관은 "이번 협력을 통해 아일랜드에 연료전지를 전력공급원으로 하는 데이터센터가 건설된다면 유럽에선 최초 사례"라며 "전력수요량이 높은 데이터센터의 전력공급시스템을 혁신하고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는 등 전략적 중요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의 SK에코플랜트와 아일랜드 럼클룬에너지가 힘을 모아 추진하는 유럽 최초의 연료전지 기반 데이터센터는 최신 기술과 친환경 솔루션이 결합된 미래 데이터센터의 좋은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아일랜드 국영 전력회사 얼그리드(Eirgrid)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아일랜드 전체 발전량의 약 18%가 데이터센터에 사용되고 있다. 얼그리드는 2028년 데이터센터가 소비하는 전력량이 국가 전체 전력생산량의 30%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아일랜드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현재 수준의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연료전지는 화석연료를 대체하면서도 데이터센터의 안정적 전력공급을 실현하는 좋은 대안으로 꼽힌다.

SK에코플랜트는 단순 시공을 넘어 사업개발과 지분투자, 파이낸싱, 연료전지 EPC(설계·조달·시공) 등 프로젝트의 주된 플레이어로 사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아일랜드와 이번 협력을 교두보로 앞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유럽 데이터센터 전력공급시스템은 물론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도 함께 모색한다.

이날 협약에 함께 배석한 리오 클란시(Leo Clancy) 아일랜드 기업진흥청장은 "한국은 아일랜드 기업에 전략적으로 점점 중요해지는 시장"이라며 "오늘 양 사간 협력 서명은 두 국가의 혁신적 기업의 성공사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이번 협력은 아일랜드에 연료전지 사업을 포함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부터 수소에 이르기까지 밸류체인을 완비한 글로벌 에너지 기업으로 선진 시장에서도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