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주 '케이블TV' 업계 월세 부담에, 방빼는 '홈쇼핑' 세입자 속사정

CJ온스타일 일부 케이블TV서 송출 중단
'젠트리피케이션' 겪는 홈쇼핑 업계

주영래 기자

leon77j@naver.com | 2024-12-09 14:14:06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CCS 충북방송·딜라이브·아름방송 등 케이블TV 3개 사에서 CJ온스타일 간판이 내려갔다. 수년간 곪을 대로 곪은, 송출 수수료 문제가 극으로 치달아 홈쇼핑 방송을 중단해서다.

 

시청자들이 케이블 TV에서 OTT로 채널을 갈아타면서, 케이블TV 시청률이 떨어졌는데도 홈쇼핑 송출 수수료율이 떨어지지 않자 이러한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 일부 케이블TV에서 CJ온스타일 방송이 중단됐다. [사진=연합뉴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CCS 충북방송·딜라이브·아름방송 등 케이블TV 3사에 대한 송출 중단에 대해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며 "송출 수수료 협상 기간 대가 산정 고려 요소를 반영해 딜라이브, 아름방송, CCS 충북방송과 성실히 협의했으나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해 불가피하게 5일 자정부터 3개 사에 송출을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CJ온스타일은 케이블TV협회가 주장하는 것처럼 무리하게 송출 수수료 인하를 요구하지 않았다"며 "케이블TV 사의 최근 5년 평균 취급고와 가입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3개 사의 감소 폭이 특히 컸다"고 설명했다.
 

이른바 가이드라인에 따른 합당한 송출 수수료를 요청했지만, 매출 및 가입자 수 감소세 상황이 고려되지 않은 금액을 제시해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CJ온스타일은 케이블TV 3사의 가이드라인 위반 문제도 제기했다.

 

CJ온스타일은 "지난해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송출 수수료 산정 시 비주거용 법인 이용자 수는 제외된 만큼, 이에 해당하는 송출 수수료를 제외하거나 재산정해달라고 요청했지만, 합리적 근거 없이 이를 거부해 가이드라인을 위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송출 중단하는 3개 사는 디지털 연계가 어려워 시청 환경 개선이 쉽지 않은 고화질 단방향 방식의 상품(8VSB) 가입자 비중이 높다”며 “8VSB 가입자 대부분은 비주거용 법인 이용자로 정확한 규모도 파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3개 사에 8VSB 실제 사용에 대한 소명 자료를 요청했으나 받지 못했다"며 "방송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에 비효율 송출 방식을 더는 감내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CJ온스타일의 이번 방송 송출 중단 사태는 소위 상권 가치에 비해 임대료가 턱없이 높아 발생한 사안이다. 마치 압구정 로데오, 신사동 가로수길, 이태원 경리단길 등 ‘젠트리피케이션’ 상권이 임대료 오르내림을 거치며 변화를 겪는 것과 유사하다.


특정 상권에 유동 인구가 몰리면 자연스럽게 임대료가 올라간다. 다만 이들 상권의 영향력은 영원하지 않다. 시대마다 트렌드 변화에 따라 특정 상권은 급격하게 쇠락한다. 반면, 이미 높아질 대로 높아진 상권 임대료는 쉬이 내려가지 않는다. 상권을 이용하려는 고객이 없어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CJ온스타일이 방을 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케이블TV 사의 최근 5년 평균 취급고와 가입자 수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방송이 중단된 3개 사의 감소 폭이 특히 컸다는 게 가장 큰 이유다. 특히 매번 지불하는 월세(수수료) 대비 향후 매출 개선이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결정이었다.


한국 TV홈쇼핑협회가 발표한 '2023년도 TV홈쇼핑 산업 현황'에 따르면 케이블TV 사업자가 한 해 동안 홈쇼핑 채널로부터 받은 송출 수수료는 총 7318억원으로, 케이블TV 전체 매출 중 42.2%에 달한다. 이 비중은 2014년 32.5%에서 9.7%로 커졌다.

 

반면, 케이블TV 방송 수신료 매출 비중은 2014년 45.4%에서 2023년 33.6%로 급격히 축소됐다. 상권 유동 인구와 다름없는 TV 시청 인구가 줄어들어 방송 수신료 매출은 줄었는데도, 홈쇼핑 사업자 수수료는 더 받은 셈이다.


홈쇼핑 업계 한 관계자는 "더 이상 구경할 게 없는 상권엔 발걸음이 닿지 않듯, 더 이상 볼 게 없는 케이블TV는 시청자도 외면한다"면서 "쇠락한 상권이라는 이미지가 고착화되기 전에 케이블TV 업계의 쇄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