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들 다 가격 내리는데, 빙과업계만 인상 '독불장군' 행보 앞과 뒤
천억대 과징금 폭탄, 소비자에게 전가 의혹도
소비자단체 빙과업계 '가격인하' 동참 촉구
주영래 기자
leon77j@naver.com | 2023-07-03 13:56:55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에 라면업계와 제과업계가 가격 인하 행렬에 동참했다.
하지만 인하 카드를 내놓은 업계의 행보에 대해 전체품목이 아닌 일부 품목에 대한 가격 인하, 가격 인상할 땐 큰 폭으로, 인하할 땐 쥐꼬리만큼 내리고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빈축을 사고 있다.
그런데 빙과업계는 정부의 압박과 소비자 단체 등의 가격 인하 목소리에도 가격 인상을 고수하려 해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부과받은 과징금을 빙과류 가격 인상 카드로 보충하려는 의도는 아닌지 의혹도 제기되는 실정이다.
지난해 2월 공정거래위원회는 국내 유명 빙과업체들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간 아이스크림 판매·납품 가격 및 소매점 거래처 분할 등을 합의했다는 내용이 담합 혐의로 판단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350억 4500만원을 부과했다. 이후 검찰은 빙그레, 롯데푸드, 롯데제과, 해태제과 등 4개 업체 임원 4명을 공정거래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기소 했고 빙그레 법인도 함께 재판에 넘겼다.
당시 과징금 규모는 빙과업계가 받은 과징금 중 역대 최대였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빙과업계가 이 비용을 보전하기 위해 빙과 업계가 계속해서 가격 인상 카드를 쓰고 있다고 의심의 눈길을 보낸다.
이에 대해 업계는 제조 원가 상승 부담이 거세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워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원·부자재, 인건비, 물류비, 전기·가스요금 등 원가 상승 요인 때문에 가격을 인하하면 적자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항변한다.
소비자단체들은 라면, 과자, 빵처럼 아이스크림도 소비자가 일상에서 부담 없이 구매하고 소소한 행복을 느끼는 식품이기 때문에 식품 기업들이 물가 안정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무엇보다도 실제로 원재료 가격 상승을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불가피한 선택이었는지, 아니면 더 많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가격 인상이었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빙과 업체들은 작년 약 4년간 가격 담합이 적발된 뒤에도 반성하지 않고 오히려 가격 인상을 짧은 주기로 계속 단행하며 적반하장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담합으로 얻은 이익을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하는 차원에서라도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