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2분기 영업익 18.6% 증가...인공지능·디지털혁신 매출 16% 성장 "주요 사업 중 최고"

류수근 기자

webmaster@megaeconomy.co.kr | 2020-08-07 13:10:19

[메가경제= 류수근 기자] KT는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5조8765억원, 영업이익 3천418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영업수익(매출)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단말 수익 감소와 금융·부동산 사업 부진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6%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 증가는 무선과 미디어 사업이 성장하고 AI(인공지능)·DX(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기반으로 B2B(기업간 거래) 사업이 호조를 보인 데 따른 것이다. 

 

 

▲ KT 로고. 

2분기 KT 무선사업 매출은 5G 가입자 확대에 힘입어 1조722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0.6% 증가했다.

2분기말 기준 누적 5G 가입자는 224만명으로, KT 후불 휴대폰 가입자 중 16%를 넘어섰다. 특히 슈퍼플랜 플러스 요금제가 2분기 5G 신규 가입자의 60% 이상을 유치하며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IPTV는 1분기보다 2배 가까운 13만7천명이 새로 가입해 누적 가입자 856만명을 달성했고, 매출은 가입자와 플랫폼 수익 증가로 4076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보다 0.5% 증가했다.

B2B 사업 매출은 IDC(데이터센터) 사업 경쟁 우위와 클라우드 사업의 공공·금융분야 확대로 작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7011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AI·DX 사업 매출(1394억원)은 전년 동기 대비 16% 상승했다. 이는 KT 주요 사업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KT는 "국내 1위 IDC 사업자로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수혜를 봤다"며 "기업들의 IDC와 클라우드 수요가 늘고 지역화폐 발행량 증가로 블록체인 매출도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유선 사업 중 유선전화와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각 7.0%, 1.2% 감소했다.

KT는 2분기까지 누적 투자지출(CAPEX)이 9673억원이며 하반기에는 지하철 등 음영 구역을 중심으로 5G 커버리지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앞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사업에 발 빠르게 대응해 B2B 플랫폼 사업자로서 성장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넷플릭스와의 제휴를 토대로 IPTV 실적도 성장을 꾀한다.

주요 그룹사를 보면, 위성전용 고가상품 가입자 비중 확대로 스카이라이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KT스카이라이프는 최근 현대HCN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만큼 앞으로 위성 방송과 케이블TV 간 새로운 방송 융합 시장을 개척한다.

반면,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카드 및 임대 사업 부진으로 BC카드, 에스테이트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5%, -7.9% 감소했다.

KT CFO 윤경근 재무실장은 "KT는 무선, 미디어, B2B 등 핵심 사업에서 성장하고 효율적인 경영 활동으로 수익성 강화에 집중해 두 자릿수 영업이익 증가율을 달성했다"며 "앞으로 5G, B2B를 중심으로 장기적으로 지속 성장 가능한 체질을 만드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