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길신의 驛史(역사)이야기 28화] 가장 낮은(깊은) 역(驛)

한국에서 가장 깊은 역, 2023년 개통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 김포공항역
세계에서 가장 깊은 역, 북한 평양 지하 150m에 개설한 지하철 영광(榮光)역

편집국

kjaehun35@gmail.com | 2025-01-17 13:20:37

[메가경제=편집국] 한국에서 가장 낮은(깊은) 역은 2023년 7월1일 개통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 김포공항역으로 지하 83m에 위치하여 승강장에서 국내선 출발장까지는 16~17분, 국제선 출발장까지는 20분 이상이 소요된다.

▲ 김포공항역

 

김포공항역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는 5호선 김포공항역, 서울메트로9호선(주)가 운영하는 9호선 김포공항역, 공항철도(주)가 운영하는 공항철도 김포공항역, 김포골드라인(주)가 운영하는 김포골드라인 김포공항역,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서해선 김포공항역 등 5개 역이 어우러져 있는 역이다.

 

▲ 김포공항역 구조


그럼 세계에서 가장 낮은 역은 어딜까. 바로 가까운 북한 평양의 지하 150m에 개설된 지하철 ‘영광(榮光)역’으로 ‘평양’ 또는 ‘학생영화관’ 역으로도 불리며, 1973년 9월 6일 개통된 붉은별~봉화 간의 천리마선을 1987년 4월 10일 ‘부흥(일명 ‘화력발전소’)역‘ 까지 연장 개통한 만경대선의 역으로 북한 지하철에서 가장 아름다운 역으로 꼽힌다.


▲ 사진 좌측부터 영광역 입구, 개·집표구, 에스컬레이터, 승강장, 신문 열람대


평양 지하철은 1단계 1973년 9월 개통 천리마선(붉은별-봉화 간), 2단계 1975년 10월 개통 혁신선 일부(락원-혁신 간), 3단계 1978년 9월 개통 혁신선 연장(혁신-광복 간), 4단계 1987년 4월 개통 만경대선(천리마선 봉화-영광-부흥 간) 연장으로 모두 39km이며, 노선도의 남·북 위치가 반대로 되어있다.

▲남·북 위치가 바뀐 노선도

 

지난 2022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게 된 중국은 공동 개최지인 베이징과 장자커우 간 1909년에 개통된 징장철도 대신 세계문화유산으로 단풍철에는 하루 8만 명 이상이 찾는 세계인의 관광지 만리장성을 경유하는 고속철도 건설을 계획했다. 

 

▲만리장성(2003년 8월 당시 저자 사진 )

 

베이징에서 자동차로 1시간 이상 소요되는 거리를 20분으로 단축할 수 있다는 계산으로 고속철도역 건설 계획 검토를 시작한 것이다.

 

▲ 징장고속철도 선로도

 

2015년 11월 베이징~장자커우 간 고속철도 건설계획이 확정된 후 2016년 3월 착공하여 2017년 8월 25일 베이징북(北京北)~칭허(清河)~사허(沙河)~창팡(倉房)~만리장성 지하 102m의 바다링장성(八达岭长城) 역까지 준공 후 2019년 12월 30일 동화위안북(东花园北)~화이라이(怀来)~샤화위안북(下花园北)~쉬안화북(宣化北)~장자커우(张家口) 역까지 총 174㎞의 징장고속철도(京张高速铁路)가 개통되었다.

 

▲사진 좌측부터 지상역사, 공사 중인 장면, 터널 장면, 지상역 승강장, 지하역 승강장 
바다링장성역의 위치는 동서로 길게 뻗어있는 전체 만리장성 가운데 보존상태가 우수하고, 베이징과 가까워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으로 9,000㎡의 지상 역에서 리프트,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로 연결되는 40,500㎡의 지하역은 지하 102m에 위치하여 지하철 아닌 일반 철도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깊은) 위치이며, 일반적 장식 효과와 달리 차가운 톤의 규산칼슘판 천장과 맑은 물기둥, 따뜻한 톤의 인공 홈이 있는 금색 대마 돌담과 무광택 바닥을 사용하였다.

▲ 징장철도 개통(1909)

 

베이징~장자커우 간 일반 철도로 3시간 이상 소요되었던 여행이 고속철도 개통으로 50분으로 단축되었다. 

 

▲징장고속철도 개통열차(2019)

 

지난 2022년 1월 17일부터 3월 16일까지 2022년 동계올림픽과 장애인 올림픽 기간 중 1,664개의 올림픽 열차를 운영하여 승객 92,000명을 수송하였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