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K-택소노미 기반 ‘ESG 금융 심사 시스템’ 구축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반영…ESG 금융 체계적 관리 가능해
녹색금융 활성화와 지속가능 순환경제체제 위한 활동 지원
송현섭
21cshs@naver.com | 2023-09-14 12:30:55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하나은행은 국내 금융권에서 처음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인 K-택소노미(K-Taxonomy)를 반영한 ‘ESG 금융 심사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4일 밝혔다.
K-택소노미는 녹색금융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순환경제체제 달성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등 친환경 경제활동을 분류하는 환경부 기준이다.
새로 구축된 하나은행 ‘ESG 금융 심사 시스템’은 기업금융이나 직접투자를 진행할 때 ESG 금융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대상을 자동 판별한다. 또 이를 통해 K-택소노미 적합성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모니터링 결과 등이 금융지원 의사결정에 반영될 수 있다.
특히 이번 시스템은 하나은행의 전산시스템 구축 사업인 ‘프로젝트 원(O.N.E)’과 연계한 ICT 혁신기술이 적용됐다. 업무 효율성 제고는 물론 오는 2025년 ESG 정보 공시제도에 대비한 것이라고 은행 관계자는 설명했다.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ESG 비전 ‘Big Step for Tomorrow’을 제시하고 2030년까지 ESG 금융 60조원 달성, 2050년까지 사업장 탄소배출량 제로, 석탄 프로젝트금융 제로 이행 등 중장기 목표 달성에 나서고 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