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 붕괴 관련 HJ중공업 등 압수수색…뒤늦은 사과 불똥 튀나

최근 기업들 발빠른 사고 대응 행보와 대조적
"여론 잠잠해지길 기다렸나" 비판 속 수사 압박 커져

윤중현 기자

junghyun@megaeconomy.co.kr | 2025-11-20 14:43:17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지난 6일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직후 8일 동안 침묵하며 뒤늦게 사과를 발표했던 HJ중공업(옛 한진중공업, 대표 김완석)이, 결국 오늘(20일) 압수수색을 받으면서 책임논란이 다시 증폭되고 있다. 사고 전후 HJ중공업과 한국동서발전 두 기업의 대응 방식도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18일 오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 합동 감식을 위해 감식팀 관계자들이 차에서 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울산경찰청은 20일 오전 9시부터 HJ중공업 본사와 사고 현장 사무소 등 6곳에 대한 대대적인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근로감독관과 경찰관 약 50명이 해체 작업 관련 문서, 작업지시 체계, 안전관리 이력 등 사고 원인 규명에 필요한 핵심 자료 확보에 나섰다.

 

이는 보일러 타워 붕괴 당시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행됐는지, 해체 공법과 원·하청 구조 속에 구조적 문제가 있었는지 가리기 위한 본격적인 강제수사다. 부산노동청은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이 확인될 경우 엄정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사고는 한국동서발전이 발주하고 HJ중공업이 시공을 맡은 해체 공사 도중 발생했다. 높이 63m 규모의 보일러 타워가 사전 취약화 작업 중 붕괴해 작업자 9명 중 7명이 매몰돼 숨지고, 2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그러나 참사 직후 두 기업의 대응은 미흡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사고 직후 즉각 사과·대책 발표가 일반적 풍경이 된 최근 산업재해 대응과 달리, 두 회사는 8일 동안 아무 공식 입장도 내지 않았다.

 

사고가 발생한 지 일주일만인 지난 13일, 동서발전 권명호 사장과 HJ중공업 김완석 대표는 각각 현장을 방문해 사과 기자회견을 열었다. 두 회사는 “실종자 구조가 최우선이었다”는 이유를 들며 사과가 늦어진 배경을 설명했으나, 이미 시기가 늦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도 “비난 여론에 떠밀려서야 나온 사과”라며 “늦은 만큼 더욱 철저한 책임 규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참사 뒤 일주일 넘게 침묵한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며 “여론이 잠잠해지길 기다린 뒤 사과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