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새마을금고중앙회장 보선...후보 9명 출사표 열기 '후끈'

첫 직선제 보선으로 경영개혁 추진동력 확보될 듯
전 회장 잔여임기 2년 채우고 혁신 추진과제 남아

송현섭

21cshs@naver.com | 2023-12-13 13:44:52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불과 9일 앞으로 다가온 새마을금고중앙회장 보궐선거에 무려 9명에 이르는 후보들이 출사표를 내면서 선거 운동의 열기가 뜨겁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21일 충남 천안시 MG인재개발원에서 치러지는 이번 선거는 뱅크런 사태 뒤 경영 공백을 메우고 개혁을 추진해야 하는 과제 때문에 그 어느 때본다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불과 9일 앞으로 다가온 새마을금고중앙회장 보궐선거에 무려 9명에 이르는 후보들이 출사표를 내면서 선거 운동의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삼성동 새마을금고중앙회관 전경 [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특히 역대 최초로 진행되는 직선제 선거로 인해 각 후보는 조직 내부 문제를 해결할 적임자이자 청렴하고 도덕성을 갖췄다는 점을 강조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새로 선임될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의 임기는 오는 2026년 3월14일까지로 정해졌다.

앞서 새마을금고중앙회장 임기가 4년 단임제로 바뀌었으나 박차훈 전 회장의 잔여임기를 채워야 하는 만큼 이번 새 회장 임기는 2년 남짓이다. 후보들의 선거 운동은 선거일 직전인 20일까지 진행되는데 ▲선거공보 ▲전화·문자메시지 ▲합동 연설회 ▲도로·시장 등 공개장소에서 지지 호소·명함 배부 등으로 선거 운동방법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이번 선거는 전국 1291개 금고 이사장들을 유권자로 하는 직선제로 진행돼 종전 간선제 대의원 선거방식과는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무엇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경쟁 구도에 표심의 향배가 선거결과를 가를 전망이다.

수도권 30.8%에 비수도권 69.2% 비중에 ▲서울(18.2%) ▲부산(10.8%) ▲경북(9.3%) ▲경기(8.5%) ▲대구(7.8%) ▲경남(7.1%) ▲전북(4.6%) ▲강원(4.3%) ▲전남(4.2%) ▲충북·충남(4.1%) ▲인천(4.0%) ▲광주(3.3%) ▲제주(3.2%) ▲대전(3.1%) ▲울산(2.3%) ▲세종(0.3%) 등 순으로 금고 수가 많다.

우선 서울과 경기 등의 표가 많아 수도권 지역 금고 이사장들의 표심이 승패를 가를 것으로 보이나 비수도권에서도 경쟁력 있는 후보들이 나온 만큼 쉽게 결과를 예측하기 힘든 구도다. 또 박 전 회장 재임시 중앙회 출신 후보들과 금고 전·현 이사장 후보들간 맞대결도 주목된다.

후보는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 전 부회장 겸 서울 남대문새마을금고 이사장 ▲김현수 대구 대조은새마을금고 이사장 ▲이순수 안양 남부새마을금고 전 이사장 ▲송호선 MG신용정보 대표 ▲최천만 부평 새마을금고 이사장 ▲우기만 남원 새마을금고 이사장 ▲이현희 북경주 새마을금고 이사장 ▲용화식 송정군 새마을금고 이사장 ▲김경태 우리용인 새마을금고 이사장 등이다.

이들 9명의 후보 중 김인 전 부회장과 김현수 중앙회 전 이사, 송호선 MG신용정보 대표, 최천만 새마을금고 복지회 전 대표 등이 박 전 회장쪽 라인으로 분류된다. 이에 맞선 지역 금고 이사장 출신 후보는 이순수 전 이사장과 우기만·이현희·용화식·김경태 이사장 등이다.

일단 박 전 회장의 비위로 치러지는 선거인 만큼 중앙회 간부 출신 후보들은 중앙회 업무의 연속성을 유지할 필요성과 함께 검증된 경영능력을 앞세우고 있다. 반면 조직쇄신과 혁신을 주장하는 후보들은 중앙회 출신 후보들을 박 전 회장과의 관계를 거론하며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일련의 새마을금고 혁신계획에 따라 과거 중앙회 권력이 집중됐던 회장과 위상이 많이 달라지긴 했으나 고객들의 신뢰 관계 회복을 위해서라도 새 회장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여론도 많다. 또 신임 회장은 이사회 권한 강화와 금고 검사권의 독립성, 부동산 PF 부실 등 수많은 당면과제를 해결할 업무 추진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선거전에서는 또 중앙회의 검사 권한과 개별금고의 자율 경영을 둘러싼 논쟁도 뜨거워지고 있다. 다만 새마을금고중앙회 조직 내부의 비위로 드러난 회장에 집중된 권력을 분산시키고 이사회의 견제를 통해 지배구조를 확립할 필요성에는 대부분 후보가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