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안전 투자 규모’ 39.6% 증가 … 항공사 선제적 안전투자 결과
항공산업계 자발적 투자 유도 위해 국토부 공시제도 도입 관리 효과도
문기환 기자
mjwriter@daum.net | 2023-07-19 11:36:50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토교통부는 우리나라 항공사 등의 지난 2022년도 안전투자 규모가 2021년(3조364억원)에 비해 1조2023억원(39.6%) 증가한 4조2387억원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이는 코로나-19로 위축됐던 항공수요가 회복세로 돌아선 자난해부터 본격적인 운항 재개 준비를 위한 11개 항공사가 선제적으로 안전투자를 확대한 결과로써, 경년항공기를 교체해 항공기 평균기령은 0.8년 개선('21년 평균 12.9년 → '22년 12.1년, △0.8년)됐고, 엔진 등 부품 추가 확보를 통해 항공기 운용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는 항공산업계의 자발적인 안전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2020년부터 항공운송사업자, 공항운영자 등을 대상으로 안전투자 공시제도를 도입해 시범운영해왔다. 공시를 통해 항공안전과 관련된 항목별 투자액의 증감 추이가 지속적으로 관리되면서 업계는 취약 분야에 대해 자발적으로 안전투자를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