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철도 무선급전기술’ 국제표준 제정 추진
‘국제표준화’본격 착수 … 철도연에서 작업그룹 착수회의 개최
문기환 기자
mjwriter@daum.net | 2023-05-08 11:32:59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은 오는 2026년까지 철도 무선급전기술 국제표준 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오는 9일과 10일 철도기술연구원 국제회의실에서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철도 무선급전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기 위한 국제표준화 작업그룹(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TC9(철도용 전기설비분과)/PT(Projecrt Team)63495) 착수회의를 개최한다.
▲ 전력공급 시스템의 차이
이번 회의는 ‘철도 무선급전시스템의 상호호환성과 안전성 관련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작업그룹(IEC/TC9/PT63495)이 공식 착수되는 것으로, 철도분야에서는 최초로 우리나라가 제안한 기술로 국제표준 제정 작업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가 있다.
이번 작업그룹은 우리나라(국토부, 철기연, 과기원)가 2018년 12월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에 제안한 국제표준안이 임시작업그룹(AHG, Ad’Hoc 그룹) 논의를 거쳐 올해 3월 정식작업그룹(PT, Project Team)으로 승인되면서 열리는 첫 회의로, 오는 2026년까지 제정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철도 주행 중 무선급전의 상호호환성과 안전성을 위한 핵심장치인 코일의 형식에 대한 내용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며, 한국은 타원형 코일방식을 제안할 계획이다.
|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