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박재완 항공보안협회장, “드론, 대한민국 안보 실질적 위협”
“드론은 정찰ㆍ공격 모두 가능 … 국가적 대응체계 시급”
10일‘드론·대 드론위원회’공식 출범 … 민·관 실질적 협업 절실
문기환 기자
mjwriter@daum.net | 2025-06-10 13:21:03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최근 국내에서 드론을 활용한 중국인들의 군사기지 등 민감 시설 무단 촬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해외에서도 드론이 군사기지와 에너지 시설을 직접 타격하는 등 실질적인 안보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
민간인의 취미 활동으로 여겨졌던 드론 운용이 이제는 정보 수집을 위한 감시와 정찰, 더 나아가 러-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전세를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로 변모하고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러한 긴박한 흐름 속에서 (사)대한민국항공보안협회가 6월10일 ‘드론·대 드론위원회’를 공식 출범하며, 국내 드론 위협에 대응하는 민간 차원의 포문을 열었다.
이에 본지는 9일 위원회 출범을 앞두고 박재완 항공보안협회장을 서울 강서구 협회 사무실에서 만나, 최근 급증하는 드론 위협과, 이에 대한 국가적 대응의 필요성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 박재완 항공보안협회장
박 회장은 드론 위협을 강조하며 입을 떼었다. “드론 하나가 전쟁의 판도를 바꾸고 있습니다. 이제는 전투기가 아니라, 소형 드론이 국가 핵심시설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시대입니다” “정찰을 넘어 공격도 가능한 시대 … 북한·테러조직도 모방 가능” 드론이 실제 공격수단으로 쓰인 최근 사례를 듣고 싶습니다. ▶우크라이나의 최근 드론 작전은 전 세계 군사 전문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지난 2025년 6월1일 우크라이나 보안국(SBU)은 러시아 전역에 위치한 4곳의 전략 공군기지를 동시에 공격하는 대담한 작전을 실행했습니다. 이 작전에서 117대의 소형 드론이 트럭에 숨겨져 러시아 영토 깊숙이 침투해, 전략폭격기와 정찰기 등 군용기를 타격했습니다. 이 작전은 저렴한 드론이 고가의 군사자산을 무력화할 수 있음을 보여줬고, 전 세계 군사 균형을 흔들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질문해야 합니다. 북한이나 국제 테러조직이 이 방식을 모방해 한국의 공항, 항만, 원전, 군사시설을 공격한다면 어떻게 막을 것인가? 지금 당장 대책을 세워야 하는 이유입니다. “드론·대드론위원회 출범… 산업계·국가기관과 손잡고 본격 대응” 최근 국제적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위원회를 구성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렇습니다. 협회는 6월10일, 드론·대드론위원회를 공식 출범합니다. 위원회는 대테러 및 항공보안 분야에서 30년 이상 실무 경험을 가진 전문가가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 국토교통부, 국가정보원, 대테러센터 등 국가기관은 물론 관련 산업체와도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입니다.
▶협회는 오는 7월17일, 김포공항 인근 국립항공박물관에서 ‘진화하는 항공위협과 K-보안의 미래’를 주제로 ‘미래 항공보안 포럼’을 개최합니다. 이 포럼에서는 대학생 등 차세대 인재들이 생각하는 새로운 항공보안 위협 발표, 국내 안티드론 전문가들의 주제 발표 및 토론, K-보안장비 활성화와 해외 수출 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 등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번 포럼은 단순한 학술행사가 아니라, 현장 중심의 정책 실현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사단법인 대한민국항공보안협회는 그 시작점에 서서 협력의 불씨를 지피겠습니다.” | ▲박재완 항공보안협회장이 서울 강서구 협회 사무실 부설 보안인재개발원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제 ‘드론 테러’라는 단어는 국제 뉴스 속의 머나먼 이야기로만 들리는 시대가 아니라는 것이 박재완 회장의 강조점이듯이 드론은 이제 전 세계 군사·안보 환경을 송두리째 바꾸고 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경각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국가 차원의 대응 전략이 절실해 보인다.
|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