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외손자, 김성훈 전 백광산업 대표 200억 횡령 혐의...검찰 구속영장 청구

전 대표 횡령 혐의에 백광산업 17일부터 주식 거래 정지
회삿돈으로 개인 세금, 카드값 까지...증거인멸 혐의도

주영래 기자

leon77j@naver.com | 2023-07-18 11:11:07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검찰이 지난 17일 대상그룹 외손자인 전 김성훈 백광산업 대표에 대해 200억원대 횡령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 사건 담당인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부장 이정섭)에 따르면 김정훈 전 대표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업무상 횡령, 자본시장법상 허위 공시, 형법상 증거인멸 교사 등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이 백광산업 전 김성훈대표를 횡령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사진=연합뉴스]

 

김 전 대표는 2010년부터 개인이 부담해야 할 세금과 카드값 등을 회삿돈으로 처리하다가 횡령 혐의로 적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식으로 회삿돈을 쌈짓돈처럼 쓴 금액이 200억 원에 달한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김 전 대표는 2017년부터 2020년 사이 이런 범행을 숨기기 위해 관계회사에 빌려준 것처럼 꾸미고, 두 회사 간 채권 채무 관계로 처리해 허위 공시한 혐의도 받는다.

또 김 전 대표는 2020년 회계 담당 임원인 박 모 씨에게 회계자료를 파쇄하게 시키는 등 증거 인멸 혐의도 받고 있다. 검찰은 해당 자료에 김 전 대표의 횡령 자금과 관련한 현금의 구체적 출납 기록이 담겨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이를 수상하게 본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7월 횡령과 허위 공시 등 백광산업 내 의심스러운 정황을 포착해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검찰은 지난달 백광산업 본점과 지점, 임직원 주거지 등 10여 곳을 압수 수색하며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김 전 대표와 회사 관계자를 여러 차례 소환조사했으며, 최근 혐의를 입증할 만한 구체적 정황이 드러나 구속영장을 청구하기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백광산업은 무기에 들어가는 원재료를 생산하는 화학업체로 염소,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 염산, 특수가스 등을 제조하고 있다. 일반인들에게는 막힌 배수관을 뚫는 제품인 ‘트래펑’ 제조업체로 유명하며, 구로구에 위치한 제니쓰 스포츠클럽도 운영하는 회사다. 유가증권(코스피) 시장 상장사인 이 회사는 김 전 대표의 횡령 혐의와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소식에 지난 17일부터 주식 거래가 정지됐다. 

1분기 매출액은 631억 원, 영업이익은 89억 원을 기록했다. 김 전 대표가 검찰 수사를 받자, 올해 3월 장영수 영업본부장이 대표 자리를 이어받았다.

1968년생인 김성훈 전 대표는 컬럼비아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대상그룹에 합병된 미원통상에 재직하다가 이후 백광산업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 전 대표는 임대홍 대상그룹 명예 회장의 장녀인 임경화 씨의 아들이다. 현 임창욱 대상그룹 회장이 외삼촌이며, 임세령, 임상민 자매와는 사촌 남매다. 

김 전 대표는 올해 3월 31일 기준 백광산업 지분 22.68%를 소유한 최대 주주다. 모친인 임경화 씨는 2.69%, 부친 김종의 회장은 1.05%를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 3명의 친인척도 0.28%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백광산업 김종의 회장의 두 딸인 김정은 씨와 김지연 씨가 설립한 진영운수의 매출액 중 95%가 백광산업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감몰아주기' 논란도 증폭되고 있다.

의혹도 받고 있다.

진영운수의 매출액의 95%를 백광산업과 거래하고 있으며, 백광산업 또한 운송계약의 약 90%를 진영운수와 진행하고 있다. 진영운수는 백광산업의 화학제품을 운송하는 화물 운송 업체다.

진영운수의 대표이사인 김정은 씨가 지분 50%를 보유하고 있으며, 김지연 씨와 윤원빈 씨가 각각 45%와 5%를 소유하고 있는 가족회사다.

[ⓒ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